![]() | [수입] 비르기트 닐손 Decca, Philips & DG 레코딩 전집 (오리지널 커버 한정반 79CD+2DVD) - ![]() 마젤 (Lorin Maazel) 외 지휘, 닐손 (Birgit Nilsson) 소프라노 / Decca 483 2787(81CDs) |
비르기트 닐손처럼 우리에게 강력하게 바그너 소프라노의 인상을 심어 놓은 사람은 아마 앞으로도 뒤로도 나타나지 않을 듯합니다. 역사상 가장 판매량이 많은 클래식 음반으로 자주 손꼽히는 솔티 지휘 반지를 비롯하여, 뵘 지휘 '트리스탄과 이졸데'는 바그너 팬 아닌 분도 하나씩 갖춰 놓을 정도죠.
그녀의 모든 스튜디오 녹음 오페라들을 모은 탄생 100주년 기념 음반을 Decca에서 냈습니다.
[ 내용 ]
아래처럼 실로 무지무지한 크기(와 뽀대)를 자랑합니다. 바로 오른쪽에 보이는 아마데우스 4중주단 전집은 뽀대 비교용입니다. 정면 길이가 대략 35cm는 됩니다. 뒤의 칼라스 염가 전집은 상대도 안 됩니다(나중에 다행인지 오리지날 커버로 Warner에서 재발매했죠. 전 그건 안 갖고 있습니다).

열어 보면 이런 스타일. 옆에 '상자 벽 공간'이 있어서 더 큽니다.

CD 면 디자인은 아래처럼 주황색으로 통일.

개별 슬리브 디자인은 아래처럼 오리지널을 충실하게 재현했습니다.

좀 웃긴 점이 있습니다. 현재 Warner에서는 EMI 관계 마크와 로고를(HMV, Nipper, Columbia mark 다 포함) 쓰지 못하는데(코간 박스를 보셔요), 아래 사진처럼 Decca나 DG에서 발매하는 경우 사용에 아무 문제가 없다는 것입니다. 이는 EMI logo의 사용 권리가 유니버설 산하 팝(재즈?) 레이블로 넘어갔기 때문입니다. 덤으로 현재 없어진 필립스 로고도 그대로 볼 수 있다는 것은 덤 ㅎㅎ

하나 아쉬운 점이, 아래 종이가 스티커로 외장 비닐 밖에 붙여져 있다는 것입니다. 미처 눈치 못 채고 죽 찢으려 했... 이건 접착력이 꽤 강해서 비닐에서 얌전히 떼어내기도 힘들어서 복사지에 붙여 그냥 보관하고 있습니다. 큰 해설 책자를 일일이 열어 보기보다는 이렇게 찾는 편이 헐 편하죠.

저도 이거 다 사기보다 낱장 빈 거 끌어모으려 했는데, 낱장 해외에서 긁어모으기가 오히려 어렵고 돈도 별로 차가 안 나겠더군요. 특히 시퍼스 지휘 맥베스 같은 것은 오리지널 CD 발매가 값이 꽤 올라서 ㅋ
========
전체 목록을 궁금해하실 분이 있을지라, 아래에 올려 놓습니다.
1∼3. 바그너; 오페라 ‘트리스탄과 이졸데’ - 울(T), 레즈닉(Ms), 크라우제(B), 반 밀(Br)/솔티/빈 필하모닉, 빈 악우협회 합창단 <60> (SET 204∼08)
4. 오페라의 탄생; 솔티의 바그너의 ‘트리스탄과 이졸데’ 리허설 (해설; 존 컬쇼) <60> (bonus LP to SET 204∼08)
5. 바그너; 오페라 ‘트리스탄과 이졸데’ 발췌 – 전주곡, 1막 ‘Wehe, ach wehe!’(2중창)*, 3막 ‘Mild und leise’
호프만(A)*/크나퍼츠부시/빈 필하모닉 <59> (SXL 2184)
6∼8. 바그너; 오페라 ‘발퀴레’ - 브루벤스틴(S), 비커즈(T), 런던(B), 워드(B), 고르(Ms)/라인스도르프/런던 심포니 <61> (RCA LDS 6706 - Decca 7BB 125~29)
9∼21. 바그너; 4부작 오페라 ‘반지’ - 솔티/빈 필하모닉, 빈 국립 오페라 합창단*
9,10. 서야 ‘라인의 황금’ - 런던(B), 플라그스타드(S), 왓슨(S), 스반홀름(T), 크멘트(T), 배히터(Br), 나이들링거(B), 뵈메(B) <58> (SXL 2101∼03) [보너스; 닐손이 출연하지 않음]
11∼14. 1야 ‘발퀴레’ - 킹(T), 크레스팽(S), 호터(B), 프리크(B), 루드비히(Ms) <65> (SET 312∼16)
15∼17. 2야 ‘지그프리트’ - 빈트가센(T), 슈톨체(T), 호터(B), 나이들링거(B), 뵈메(B), 회프겐(A), 서덜랜드(S) <62> (SET 242∼46)
18∼21. 3야 ‘신들의 황혼’* - 빈트가센(T), 나이들링거(B), 프리크(B), 루트비히(Ms), 왓슨(S), 피셔-디스카우(Br) <64> (SET 292∼97)
22,23. R.슈트라우스; 오페라 ‘살로메’ - 호프만(A), 슈톨체(T), 배히터(Br), 크멘트(T)/솔티/빈 필하모닉 <61> (SET 228∼29)
24,25. R.슈트라우스; 오페라 ‘엘렉트라’ - 레즈닉(Ms), 콜리어(S), 슈톨체(T), 크라우제(B)/솔티/빈 필하모닉 <66> (SET 354∼55)
26∼28. 모차르트; 오페라 ‘돈 조반니’ - 시에피(B), 코레나(B), 프라이스(S), 발레티(T), 라티(S), 반 밀(B)/라인스도르프/빈 필하모닉, 빈 국립 오페라 합창단 <59> (RCA LSC 6410 - Decca D10D4)
29,30. 베토벤; 오페라 ‘피델리오’ - 시우티(S), 맥크라켄(T), 크라우제(B), 뵈메(B), 프라이(Br), 그로베(T)/마젤/빈 필하모닉, 빈 국립 오페라 합창단 <64> (SET 272∼73)
31,32. 베르디; 오페라 ‘가면 무도회’ - 베르곤지(T), 맥닐(Br), 시묘나토(Ms), 스탈만(S)/솔티/로마 산타 체칠리아 음악원 오케스트라와 합창단 <60,61> (SET 215∼17)
33,34. 베르디; 오페라 ‘맥베스’ - 타데이(Br), 프레베디(T), 포야니(B)/시퍼스/로마 산타 체칠리아 음악원 오케스트라와 합창단 <64> (SET 282∼84)
35. 베르디; 오페라 ‘아이다’ 발췌 – 호프만(A), 오톨리니(T), 퀼리코(Br)/프리차드/코벤트 가든 왕립 오페라 오케스트라와 합창단 <63> (SXL 6068)
1막 ] 1. Ritorna vicitor! 2막 ] 2. Fu la sorte dell’armi a’ tuoi funesia
3막 ] 3. Qui Radames vera... O patria mia
4막 ] La fatal pietra sovra me si chiuse
36. 베르디; 오페라 아리아집 – 콰드리/코벤트 가든 왕립 오페라 오케스트라와 합창단* <62> (SXL 6033)
맥베스; 1) Ambizioso spirto... Vieni t’affretta!... Or tutti sorgete 2) La luce langue
3) Una macchia e qui tutt’ora
나부코; 4) Ben io t’invenni... Anch’io dischiuso... Salgo gia
운명의 힘; 5) Sono guinta... Madre, pietosa Vergine* 6) Pace, pace, mio Dio!
돈 카를로; 7) O don fatale
37,38. 푸치니; 오페라 ‘토스카’ - 코렐리(T), 피셔-디스카우(Br)/마젤/로마 산타 체칠리아 음악원 오케스트라와 합창단 <66> (SET 341∼42)
39. 바그너, 베버, 베토벤 아리아집 – 다운즈/코벤트 가든 왕립 오페라 오케스트라 <63,64*> (SXL 6033, SEC 5533*)
1) 바그너; Dich, teure Halle(탄호이저; 2막) 2) 베버; Ozean! Du Ungeheuer!(오베론)
3) 바그너; Der Männer Sippe, Du bist der Lenz(발퀴레; 1막), Einsam in trüben Tagen(로엥그린; 1막)
4) 베버; Leise, leise(마탄의 포수 2막) 5) 베토벤; Abscheulicher! Wo eilst du hin? (피델리오; 2막)
보너스 트랙; 베토벤 ‘Ah perfido!’ op.65*
40. 한밤중에 태양이 뜨는 땅 – 북구 작곡가들의 가곡; 복스테트/빈 국립 오페라 오케스트라 <65> (SXL 6185)
< 시벨리우스 >
1. Våren flyktar hastigt(Spring is flying), op.13-4
3. Säf, säf, susa (Rushes, Whisper!) op.36-4
6. 'Vas Det En Drom (Was It A Dream)' op.37-4
7. Höstkväll(Autumn evening), op.38-1
2. Svarta Rosor(black roses), op.36-1
4. Demanten på marssnön (Diamond on the March snow), op.36-6
5. Flickan kom från sin älsklings möte (The girl returned from meeting her lover), op.37-5
< 그리그 >
1. Der Schwan op.25-2 3. Fra Monte Pinchio(From Monte Pinchio) op.39-1
2. Last spring op.33-2
< 랑스트룀 >
1. Melodien(melody) 3. Sköldmön(Valkyrie)
2. Bön till naten(Prayer to night) 4. En gammal dansrytm(An old dance rhythm)
< 보너스 트랙 > 크리스마스 성가집 – 레벤(org) <63> (SEC 5517)
1. 아당; 오 거룩한 밤 2. 구노; 아베 마리아 3. 프랑크; 파니스 안젤리쿠스 4. 그루버; 고요한 밤
< 보너스 > 뢰베; I could have danced all night (My fair lady) - 오케스트라 <60> (SET 201∼03; ‘박쥐’의 갈라)
41번부터는 원래 Decca가 주도해 녹음한 음원이 아닙니다. 이제 Philips는 Decca가 권리가 있습니다만.
41∼52. 바그너; 4부작 오페라 ‘반지’ - 뵘/바이로이트 축제 오케스트라와 합창단* (Philips 6747 037)
41,42. 서야 ‘라인의 황금’ - 아담(B), 부르마이스터(Ms), 실랴(S), 에세르(T), 볼파르트(T), 닌슈테트(Br), 나이들링거(B), 탈벨라(B), 뵈메(B) <66> [보너스; 닐손이 출연하지 않음]
43∼45. 1야 ‘발퀴레’ - 킹(T), 뤼자넥(S), 아담(B), 닌슈테트(Br), 부르마이스터(Ms) <67>
46∼48. 2야 ‘지그프리트’ - 빈트가센(T), 볼파르트(T), 아담(B), 나이들링거(B), 뵈메(B), 수쿠포바(A), 쾨트(S) <66>
49∼52. 3야 ‘신들의 황혼’* - 빈트가센(T), 나이들링거(B), 그라인들(B), 뫼들(S), 드보르자코바(S), 스튜어트(Br) <67>
53. 바그너; ‘파르지팔’과 ‘발퀴레’ 중 2중창 – 브릴리옷(T), 베일리(B)/세게르스탐/코벤트 가든 왕립 오페라 오케스트라 <73> (Philips 6500 661)
1) 파르지팔(2막); Dies alles hab’ ich nun geträumt 이후 2막 끝까지 (파르지팔, 쿤드리, 클링조르)
2) 발퀴레(1막); Schläfst du, Gast? 이후 1막 끝까지 (지글린데와 지크문트)
54. 바그너; 베젠동크 가곡집, ‘방황하는 네덜란드인’ 중 2막 ‘젠타의 발라드’, ‘리엔치’ 중 ‘Gerechter Gott’, ‘요정’중 ‘Weh mir, so nah die fürchterliche Stunde’ - 데이비스/런던 심포니 <71> (Philips 6500 294)
55∼57. 바그너; 오페라 ‘트리스탄과 이졸데’ - 빈트가센(T), 루트비히(Ms), 배히터(Br), 탈벨라(B), 볼파르트(T), 슈라이어(T), 닌슈테트(B)/뵘/바이로이트 축제 오케스트라와 합창단 <66> (DGG 139 221∼25 SLPM)
58∼60. 바그너; 오페라 ‘탄호이저’ - 빈트가센(T), 피셔-디스카우(Br), 아담(B)/게르데스/베를린 독일 오페라와 합창단 <68,69> (DGG 139 284∼87 SLPM)
61∼63. 모차르트; 오페라 ‘돈 조반니’ - 피셔-디스카우(Br), 아로요(S), 플라젤로(B), 슈라이어(T), 그리스트(S), 탈벨라(B)/뵘/프라하 국립 오페라 오케스트라와 합창단 <67> (DGG 139 260∼63 SLPM)
64,65. 베버; 오페라 ‘오베론’ - 그로베(T), 시믈(A), 오제(S), 하마리(A), 도밍고(T), 프라이(Br)/쿠벨릭/바이에른 라디오 심포니와 합창단 <70> (DG 2709 035)
66∼68. R.슈트라우스; 오페라 ‘그림자 없는 여인’ - 킹(T), 뤼자넥(S), 베리(Br)/뵘/빈 국립 오페라 오케스트라와 합창단 <77> (DG 415 472-1)
69. 베토벤; ‘Ah, perfido!’ op.69 – 라이트너/빈 심포니 <70> (DG 2720 017)
R.슈트라우스; ‘살로메’ 중 ‘Ah! Du woltest mich nicht deiner Mund.. ’ - 뵘/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오케스트라 <72> (DG 2530 260)
70,71. 푸치니; 오페라 ‘투란도트’ - 코렐리(T), 스코토(S), 메르쿠리알리(T)/몰리나리-프라델리/로마 오페라 오케스트라와 합창단 <65> (HMV SAN 159∼61)
72,73. 베르디; 오페라 ‘아이다’ - 코렐리(T), 범브리(Ms), 세레니(Br)/메타/로마 오페라 오케스트라와 합창단 <67> (HMV SAN 189∼91)
74,75. 푸치니; 오페라 ‘서부의 아가씨’ - 기빈(T), 몬젤리(Br), 차카리아(B)/마타치치/밀라노 라 스칼라 오케스트라와 합창단 <58> (Columbia SAX 2286∼88)
76,77. 베버; 오페라 ‘마탄의 포수’ - 쾨트(S), 게다(T), 베리(B), 안하이서(Br), 크라스(B)/헤거/바이에른 국립 오페라 오케스트라와 합창단 <69> (Electrola 1C 065-28351∼53)
78,79. 푸치니; 오페라 ‘투란도트’ - 비욜링(T), 테발디(S), 토치(B)/라인스도르프/로마 오페라 오케스트라와 합창단 <59> (RCA LSC-6149)
80.(DVD) 황금 반지 – 1965 BBC 다큐멘터리; 1964년 바그너 ‘신들의 황혼’ 녹음 중 촬영
음악 발췌; 4부작 중 일정 부분 5.1 서라운드 돌비 음향
81.(DVD) R.슈트라우스 – 오페라 ‘엘렉트라’ - 던(Ms), 뤼자넥(S), 나기(T), 맥킨타이어(Br)/레바인/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오케스트라와 합창단 <80>
< 보너스 > 커튼 콜, 바그너 ‘트리스탄’ 1막 중 ‘Wie lachend sie mir..’, ‘Fjortan år tror jag visst att jag var(내가 17세 때; 스웨덴 민요)’, 레바인에 대한 감사의 말
- 메트 오페라에 대한 얘기; 에드워드 다운즈와 1963년, 조지 젤리넥과 1993년 (영상 없음)
Decca 483 2787(81CDs)
漁夫
덧글
- 닐손이 솔티랑 같이한 트리스탄 녹음의 리허설은 박스에 있는데, 정작 뵘 연주의 리허설은 왜 빠져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최근에 블루레이랑 같이 묶어서 나온 재발매반에 들어갔다고 하는데 어째서..
- 지금까지 사본 시디 중에서 수록 시간이 지나치게 긴 시디가 잔뜩 있어서 듣기에는 편할지는 몰라도 장기간 보관에는 좀 걱정이긴 합니다. 솔직히 이렇게 찍어내는 것이 규격에 맞는지도 잘 모르겠어요.
저도 CD 길이가 엄청 길어서 나중에 재생이 제대로 될지 걱정이 됩니다. 프리차이 박스반에서도 거의 84분에 가까운 넘이 있었는데 여기서도 마찬가지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