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기도 남북 격차 해소와 '분도안'
* 무슨 이유건 일단 격차가 나기 시작하면 좁히기 매우 어렵다. 더군다나 현재 같은 저성장 시대에는.
... 못 믿겠다면 19세기 말 런던의 부유한 지역과 가난한 지역을 그려놓은 찰스 부스(Charles Booth)의 지도[1]를 살펴보라... 부스의 지도를 오늘날의 극빈 지역들과 대조해보면 정신이 번쩍 들 것이다. 거의 예외 없이 과거에 가난했던 지역은 지금도 가난하기 때문이다.
- Tim Harford, '경제학 콘서트 2(The logic of life)', 이진원 역, 웅진지식하우스 刊, p.202
[1] link에서 볼 수 있음
- Tim Harford, '경제학 콘서트 2(The logic of life)', 이진원 역, 웅진지식하우스 刊, p.202
[1] link에서 볼 수 있음
* 잘 나가는 지역에서 더 걷어 낙후되는 지역을 지원한다는 전략은 최소한의 일체감이 있어야 가능하다.
얼마 전의 생생한 사례로는 이런 것. 같은 데 살면서도 일체감이 없으면 '왜 거기를 내 세금으로 지원해야 하지?'란 질문이 당연히 나온다.
2. 포스코 4조 3교대 추진
여기서 “포스코가 지난 2010년부터 4조 2교대로 전환한 후 중마지역 상가는 비참할 정도로 불황에 휩싸이고 있다”는 발언을 주목하자.
이 기사의 배경을 이해하려면 당연히 4조 3교대와 4조 2교대를 이해해야 한다.
* 포스코 4조 2교대 빠르게 안착

네이버 지도로 광양시 주변은 아래와 같다. 광양시 경계는 붉은 색, 중마동은 하얀 색 표시. 오른편 아래 구석의 scale을 보면, 그야말로 제철소의 코 앞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漁夫
ps. 나도 초짜 시절 3교대를 체험해 보았는데, 힘들었다. 물론 그 때는 여기 표 식으로 길게 가지 않아서 후근과 야간만 하루 간격으로 했으니까 당연히 힘들었지...
덧글
제가 지방으로 돌아다니다 보니, 예전에 잘나가던 지역이 어떤 사정 하나 바뀌면서 쇠락해버리는 경우가 많더군요.
북한의 체제가 조금만 정상화 되면, 경기남도가 지금보다 불리해질 일은 없겠지만 경기북도는 지금보다 압도적으로 유리해질 것 같습니다.
포천이 2008년부터 인구가 쭉쭉 줄어들고 있는데 아마 경기도에서 인구 줄어드는 지자체는 포천 정도 빼면 없지 않을까 싶은데 참..
정말 어떤 '사정 하나' 바뀌어서 쇠락한다면, 거긴 안정적으로 오래 가지 못할 상황이라 봐야 합니다. 도시 경제학자들은 사람이 투자하는 것처럼 도시도 '위험 분산'을 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BigTrain 님 / 포천이 인구가 줄어드나요? 경기도에서는 정말 예외적이네요.
6년 동안 2.74%가 줄었는데 경기도 인구가 2008년 1154,9091명에서 2013년 1254,9345명으로 인구가 8.66% 증가했으니 상대적인 격차는 더 크다고 봐야될 것 같습니다. ( http://stat.gg.go.kr/ 주제별통계에서 인구 검색. 링크는 연결이 안되네요. )
근데 저 주민등록 기준으로는 08년 16,8688명에서 2013년 16,7916명으로 인구감소규모가 적기는 하네요. 저 신문기사에 쓰인 데이터는 어떤 숫자인지 모르겠는데..
또 찾아보니 2008년보다 2013년이 인구가 줄어든 지자체는 경기도에서 부천시(1130명), 안양시(1,2643명), 의정부시(811명), 구리시(6409명), 포천시(772명)이네요. 안양시랑 구리시는 무슨 문제가 있길래 경기내도에 속하면서도 저렇게 인구가 빠졌는지 모르겠습니다.
여하간 우리나라 지방자치의 문제가 지역 토호들과 결탁해서 하나의 권력집단을 형성하는건데 이걸 어떻게 해결할 대안이 있을까 싶습니다.
연휴에 외국으로 나가서 국내 경기가 죽으니, 연휴를 없애고 휴일을 짧게 쪼개야 한다.
.... 그래도 위수지역 얘기나 근무형태 다시 바꾸라는 건 당연히 안 되죠. 상인들 좋으라고 군인이나 근로자들 자유를 제한하라는 것은 말이 안 되니.
그런 시골에서 음식값이 서울과 비슷할 정도면, 정말 많이 남겠습니다. 임대료,인건비 모두 서울보다 싼데, 경쟁도 덜하니까요. 쉽게 꿀 빨다 제대로 장사해야 하니, 싫다고 떼 쓰는 겁니다. 좀 지나면, 정신 못 차리는 가게는 망하고 제대로 하는 가게만 남을 겁니다. 이렇게 되면, 다시 공장 앞에서 먹는 사람도 늘어나겠지요.
그 밖에 요즘 들어 농수산물 유통 단계 줄이자는 말이 별로 안 나오는 게 수상합니다. 대형 마트 등이 그야말로 농민에게서 사서 소비자에게 파는데요. 마트 때려잡기 하면서 줄이자면 모순이 생기니 조용한기 싶기도 합니다. 하지만, 마트 때리는 사람들이 이런 생각을 할 지능,지식이 안 될테니, 버린 가설입니다.
경기도는 그냥 도를 해체하고 김포-고양-파주, 의정부-양주-동두천-포천-연천-가평, 뭐 이런 식으로 대규모 행정집단을 만드는 게 어떨까 싶기도 하고.. 도농간 격차가 심하다 보니 도시 쪽에 맞춘 정책은 농촌쪽에 안 맞고 뭐 그렇죠.
==============
혹시 행정구역 재배치 등이 바뀐 게 있을까요. 만 명 넘게 감소했다면 뭔가 이유가 있을지도.
2. 공장 있는 근처는 항상 그런 문제가 크든 작든 있어보입니다. 거제도에서 장사하는 사람들이 거가대교 개통을 반대한다든가, 울산에서 장사하는 사람들이 부산울산고속도로 및 동해남부선 전철화를 반대한다든가.. 문제는 이게 서울 수준의 물가에 불친절이 결합된 데다가 그나마도 품질(음식맛)까지 나쁜 경우가 흔해서....군부대 근처에서 볼 수 있는 현상과 비슷한 느낌입니다.
2. 공장뿐 아니라, 도심의 주택 소유자들이 편리한 지하철을 반대하는 사례는 심지어 '경제학 콘서트'에서도 나오죠. 지하철이 통근에 대안을 제공해서 집값이 내려간다는 이유입니다 ;-)
근데 서울 물가에 불친절이 결합(!)이라면 참 거시기하네요. 어차피 대안이 별로 없을 거라는 점을 아니까 불친절해도 된다...는 심리일수도.
군바리퀘스트 님 / 수입/수출은 국가 사이만의 얘기가 이미 아니죠.
추가로 지방자치의 경우 지역 토호와의 유착은 지방자치가 장기화된 국가 대부분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봅니다. 미국의 경우 사실상 각 주가 거의 대부분의 일을 직접 처리할 만큼 자립성이 높은데 그 때문에 지역 토호와 관련된 것이 의심되는 사건은 FBI 개입이 일반적이죠. 주 경찰이 토호와 협력적 관계라 정부의 조치에 협조를 안 하거나 오히려 토호에게 매수된 경우도 적지 않기 때문입니다. 일본도 마찬가지고. 그렇다고 해서 중앙 정부가 지나치게 거대한 권력을 가지면 지역 토호들은 찍어누를 수 있지만 대신 지역별로 특화된 정책 자체를 실시할 수 없고, 여러모로 골치죠.
우리 나라는 중앙 정부가 워낙 예산을 크게 쥐고 있어서 미국처럼 되지는 않겠지만, 작은 지역 사회가 쉬쉬하고 덮어 놓았을 경우 생길 수 있는 문제가 바로 '섬노예' 같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