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는 1번과 결과가 비슷해서, "적합도 차이가 다양해야 빨리 선택이 일어난다"는 것이지요. 3. Hamilton's rule Hamilton의 1964년 논문이 C < rB 를 유도하려고 얼마나 복잡한 과정을 거쳤는지 이미 보셨을 것입니다. Price equation에서는 이 과정을 아주 간결하게&nb ... more
-
... 이션을 심심찮게 들을 수 있다. OxzTL 3) 포괄 적응도(inclusive fitness) 개념의 대중화 물론 이 개념 자체는 윌리엄 해밀턴이 그의 전설적인 1964년 논문에서 창안했다. 하지만 이 책에서 윌리엄즈는 다른 생물학자들이 이 개념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했으며, 큰 잠재력이 있음을 확신시켰다. 현재 생물의 사회적 행동 ... more
-
... 군 유전학(poulation genetics)적 성격이다. [2] 노화에 대한 1957년의 기념비적 논문(link). [3] 사회적 행동의 진화를 논증한 1964년의 기념비적 논문(link). [4] 일반 꿀벌의 얘기. 말벌들은 그렇지 않다. [5] 일개미의 경우 '자식이 아니라 어머니인 여왕의 자식 번식을 돕는다'는 것이 더 잘 맞을 듯.  ... more
-
... 미스(John Maynard Smith) 5) 조지 프라이스(George R. Price) 포괄 적합도야 제 해밀턴 논문 1편 번역을 보면 정의가 '그야말로 엄밀하게' 잘 나와 있고, 프라이스의 일생이야 제 블로그 1, 2편에서 자세히 알 수 있는만큼 다 '요약'입니다. 나무위키에서 너 ... more
-
... 않는다"고 했습니다만, 구글에서 이 논문 피인용 횟수는 1000이 넘습니다. 컥... 좀 툴툴거리자면, 해밀턴의 다른 논문 번역(posting)에서도 볼 수 있겠지만, 이 양반 논문은 번역하기가 그리 쉽지 않습니다. 어차피 날림 번역이죠 -.- 漁夫 참고] 시리즈의 앞 글은 * 노화의 진화 ... more
-
... p;당연히 해밀턴이 논문을 발표하기 전에 이런 저런 시도를 해 봤을 겁니다. (번역) 사회적 행동의 유전적 진화 I - 1964, Bill Hamilton 논문을 보면, '.... 이 가정에서는 결과를 얻는 데 실패했다'는 식의 언급 ... more
덧글
네 생각 외로 되게 복잡한 과정을 거쳐 증명했습니다. 그런데 훨씬 더 쉬운 방법으로도 C<rB는 유도 가능하죠.
저도 한참 나중에 어떤 식으로든 동참하겠습니다.
제가 프로만큼 논문을 빨리 읽을 수 없는 거야 당연하니만큼, 공부하는 셈 치고 이런 식으로 다른 분들께 도움이 된다면 하고 올리는 것이지요.
언젠가는 제가 할 날이 올 것 같습니다.
오오미 헤밀턴의 논문을 번역하시다니 어부 님 대단하십니다.
저도 윌리엄 헤밀턴의 1964년도 친족 선택 논문 구해서 옛날에 번역시도를 나름대로 했지만
사회과학 전공자지 이과도 아니고 수학도 약하고 전공용어도 잘 모르고
전공공부랑 고시준비도 따로 있고 해서 포기했었는데
어부 님께서 역사적인 번역 작업을 하셨네요.. 존경스럽습니다..
저도 제 나름대로 제 블로그에 [ 유전자 선택설 ] 이나 [ 이타주의 행동 진화 ] 에 대해 나름대로 글을 써봤습니다.
http://blog.naver.com/ohryan77/60171608628
여기 제 블로그 링크 에서 제일 밑에 12번 항목
12. 도덕의 기원 과 진화론 / 호혜적 이타주의 - ( 사회생물학 / 진화심리학 / 행동유전학 )
[출처] 네이버 오늘의 과학 댓글 진화론 키배 를 위한 요약본 zip 포스팅 그리고 도덕 진화 |작성자 오뎅제왕
http://blog.naver.com/ohryan77/60151105031
종교의 존재가치는 무엇인가? 도덕적으로도 종교의 가치가 있는가? - 상호 이타성 행동의 진화
[출처] 종교의 존재가치는 무엇인가? 도덕적으로도 종교의 가치가 있는가? - 상호 이타성 행동의 진화|작성자 오뎅제왕
특히 두 번째 링크 포스팅은 저의 나름대로 제 어설픈 내공을 모두 쏟아부어 쓴 제 블로그 글들 중에서는 가장 명작품이라고 생각하는 바이지만..
뭐 ^^;; 어부님 같은 고수분들 에 비하면 많이 모자라지요
일반인 친구들 중에서도 유전자 단위 선택설이나 도킨스의 [ 이기적 유전자 이론 ] 에서 왜 제목이 < 이기적 > 유전자 인지
이해못하는 사람이 너무 많았습니다.
진짜 거짓말안하고 이기적 유전자란 책 읽고 유전자가 이기적이고 사람은 이기적인 존재라고 잘못 읽는 사람도 많았고요
제가 위에 링크처럼 장문의 포스팅들을 한 것도 그 때문에
이기적 유전자나 이타주의 행동 진화 메커니즘의 가능성을 좀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려고 글을 좀 써봤습니다.
이기적 유전자를 그대로 뒤집으면 이타적 유전자도 된다..
[출처] 종교의 존재가치는 무엇인가? 도덕적으로도 종교의 가치가 있는가? - 상호 이타성 행동의 진화|작성자 오뎅제왕
동물들의 이타주의는 다 꾸며낸 것이다. 가장 훌륭한 희생의 경우라도 동물들은 사실 그들 자신의 유전자의 이기적 이익을 위해 봉사한다는 사실이 밝혀진것이다.
- 붉은 여왕 - 매트 리들리 p. 69
[출처] 종교의 존재가치는 무엇인가? 도덕적으로도 종교의 가치가 있는가? - 상호 이타성 행동의 진화|작성자 오뎅제왕
이 인용문장들이 말하는 바가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나 윌리엄 헤밀턴의 헤밀턴 룰이 말하는 핵심 아니겠습니까
어쨌든
제 블로그에서도 글을 썼었지만
진짜로 간혹 이런 질문하는 인간들이 있었습니다 특히 다 예쌍하시다시피 창조과학(?) 헛소리를 신봉하는 모 종교... =>
1번 신이나 사후세계 없으면 무슨 삶의 의미가 있냐?
2번 적자생존 약육강식에 제국주의를 퍼뜨린 게 진화론인데 어떻게 도덕이 진화론으로 생기냐
3번 사람은 원래 선했는데 사탄때문에 타락했고 원래 도덕은 신이 주신거라능둥 한다거나
4번 희생한 놈들은 어떻게 되나? 희생하면 자기는 죽는데 희생하는 유전자를 가진 애들이 어떻게 적자생존 에 살아남냐 제일 많이, 그리고 제일 먼저 개체군에서 사라질텐데 말야~ 라고 하는 부류
1번 부터 3번 까지는 대답할 가치도 없고 저의 블로그 포스티에서 장문으로 장황하게 까는 글 썼으니 패스하고
그나마 과학적으로 타당하게 보이는 질문인 4번에 대해 설명한다면
저4번 때문에 나가리 된 게 고전적 집단선택설이었고
이에 대한 대안이 바로 조지 윌리암스 나 리처드 도킨스의 [ 이기적 유전자 선택설 ] 과 윌리엄 헤밀턴의 포괄 적응도 이론 이었죠
즉 자연선택의 단위는 [ 유전자 [ 이지 개체나 집단이 아니고 또한 공유 유전자 가진 친족의 생존 - 자기 자손이나 친척 형제 부모 조카는? 자신은 희생해도 그 유전자 ( 이타적 행동 표현형을 발현하는 유전자 ) 를 가진 유전적 근연도 높은 친족이나 자손은 남아서 그런 이타적 행동이 계속 퍼지는거죠~ ㅋㅋㅋ
그나저나 진짜 헤밀턴 룰 수학공식은 참 복잡합니다
이 논문에 사용한 수학은 현재의 이과 고등학교 수준으로 커버 안 되는 것은 하나도 없습니다. 단 사용한 개념이 어렵고 논문의 제한된 지면에 싣다 보니 세부는 약간 줄여 놓았지요. 그래서 제가 이 논문을 번역하면서 이 '빠진 부분'을 가능한 한 자세히 채워 놓으려고 시도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식을 거의 다 제대로 이해했다고 생각은 하는데, 딱 하나는 제대로 잘 유도를 못 하겠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