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에서 국민소득과 불법복제율 사이의 그래프를 보고.
좀 최신 자료나 공신력 있는 것을 찾았는데, 목적에 맞는 것은 잘 안 나온다.
1. 한국의 최신 수치; http://news.hankooki.com/lpage/opinion/201207/h20120720023145112020.htm (한국; 2010/11 40%)
2. 국가별로 좀 많이 볼 수 있는 수치; http://www.copyright.or.kr/copy/enter/enter_0507.PDF
이것과 http://www.nationmaster.com/graph/eco_gdp_percap-economy-gdp-per-capita 의 PPP 수치와 조합하면 아래 표를 얻을 수 있다. 8년 전이니 좀 오래 된 data고, GDP year가 역시 약간 제각각인 문제는 있으나 더 나은 수치를 찾기가 어려웠음.
이것으로 2004년의 복제율과 합쳐 그래프를 만들면 아래와 같다. 자료 한계상 아주 정확하지야 않겠지만.
한국은 붉게 칠해 놓은 점의 위치였으며, 2011년의 수치 40%와 2012년 PPP 국민소득(예상) 32,431$를 합하면 네모난 붉은 점의 위치로 이동했다. 한국이 비슷한 소득 국가들에 비해 불법복제율이 어느 정도에 위치해 있는지 대략이나마 알 수 있다.
물론 소득 수준과 불법복제율 사이는 상당히 강한 상관 관계가 있다. 그렇다고 소득이 낮다고 항상 불법 복제율이 높다고만 말할 수는 없으며, 다른 요소들도 꽤 크게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래 링크의 말처럼, '소득이 전부는 아니다'.
http://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0077776 (BSA head의 발언)
개인적으로는 '소득이 낮은 데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복사를 역시 조장할 수 있다' 정도 아닌가 한다.
漁夫
좀 최신 자료나 공신력 있는 것을 찾았는데, 목적에 맞는 것은 잘 안 나온다.
1. 한국의 최신 수치; http://news.hankooki.com/lpage/opinion/201207/h20120720023145112020.htm (한국; 2010/11 40%)
2. 국가별로 좀 많이 볼 수 있는 수치; http://www.copyright.or.kr/copy/enter/enter_0507.PDF
이것과 http://www.nationmaster.com/graph/eco_gdp_percap-economy-gdp-per-capita 의 PPP 수치와 조합하면 아래 표를 얻을 수 있다. 8년 전이니 좀 오래 된 data고, GDP year가 역시 약간 제각각인 문제는 있으나 더 나은 수치를 찾기가 어려웠음.
2,004 | 2,003 | most recent GDP | GDP year | |
싱가폴 | 42 | 43 | 57,596 | 2010 |
노르웨이 | 31 | 32 | 53,285 | 2007 |
아일랜드 | 38 | 41 | 46,628 | 2007 |
미국 | 21 | 22 | 45,759 | 2007 |
홍콩 | 52 | 52 | 45,550 | 2010 |
스위스 | 28 | 31 | 41,505 | 2010 |
오스트리아 | 25 | 27 | 39,269 | 2007 |
네덜란드 | 30 | 33 | 38,954 | 2007 |
캐나다 | 36 | 35 | 38,065 | 2007 |
오스트레일리아 | 32 | 31 | 37,828 | 2007 |
스웨덴 | 26 | 27 | 37,481 | 2007 |
덴마크 | 27 | 26 | 37,179 | 2007 |
벨기에 | 29 | 29 | 36,229 | 2007 |
핀란드 | 29 | 31 | 35,964 | 2007 |
영국 | 27 | 29 | 35,046 | 2007 |
독일 | 29 | 30 | 34,065 | 2007 |
스페인 | 43 | 44 | 33,647 | 2007 |
일본 | 28 | 29 | 33,523 | 2007 |
프랑스 | 45 | 45 | 31,161 | 2006 |
그리스 | 62 | 63 | 30,598 | 2007 |
대만 | 43 | 43 | 30,561 | 2007 |
이탈리아 | 50 | 49 | 29,393 | 2010 |
이스라엘 | 33 | 35 | 28,910 | 2007 |
뉴질랜드 | 23 | 23 | 27,309 | 2007 |
키프러스 | 53 | 55 | 27,141 | 2007 |
한국 | 46 | 48 | 24,589 | 2007 |
체코 | 41 | 40 | 24,538 | 2007 |
UAE | 34 | 34 | 24,176 | 2010 |
말타 | 47 | 46 | 23,390 | 2007 |
슬로바키아 | 48 | 50 | 22,317 | 2010 |
포르투갈 | 40 | 41 | 21,826 | 2010 |
에스토니아 | 55 | 54 | 21,802 | 2007 |
헝가리 | 44 | 42 | 19,254 | 2007 |
폴란드 | 59 | 58 | 18,990 | 2010 |
라트비아 | 58 | 57 | 17,722 | 2007 |
푸에르토리코 | 46 | 46 | 17,403 | 2010 |
리투아니아 | 58 | 58 | 16,775 | 2007 |
말레이시아 | 61 | 63 | 15,116 | 2010 |
러시아 | 87 | 87 | 14,832 | 2007 |
레바논 | 75 | 74 | 13,817 | 2010 |
베네주엘라 | 79 | 72 | 12,846 | 2007 |
남아프리카 | 37 | 36 | 10,551 | 2010 |
튀니지 | 84 | 82 | 9,507 | 2010 |
도미니카공화국 | 77 | 76 | 9,056 | 2010 |
태국 | 79 | 80 | 8,655 | 2010 |
중국 | 90 | 92 | 7,368 | 2010 |
엘살바도르 | 80 | 79 | 7,101 | 2010 |
우크라이나 | 91 | 91 | 7,015 | 2007 |
알제리 | 83 | 84 | 6,669 | 2007 |
파라과이 | 83 | 83 | 5,340 | 2010 |
과테말라 | 78 | 77 | 4,895 | 2010 |
볼리비아 | 80 | 78 | 4,601 | 2010 |
인도네시아 | 87 | 88 | 4,348 | 2010 |
필리핀 | 71 | 72 | 3,756 | 2010 |
니카라과 | 80 | 79 | 2,995 | 2010 |
베트남 | 92 | 92 | 2,953 | 2007 |
인도 | 74 | 73 | 2,625 | 2007 |
파키스탄 | 82 | 83 | 2,500 | 2007 |
나이지리아 | 84 | 84 | 2,334 | 2010 |
케냐 | 83 | 80 | 1,658 | 2007 |
짐바부웨 | 90 | 87 | 349 | 2010 |
이것으로 2004년의 복제율과 합쳐 그래프를 만들면 아래와 같다. 자료 한계상 아주 정확하지야 않겠지만.

물론 소득 수준과 불법복제율 사이는 상당히 강한 상관 관계가 있다. 그렇다고 소득이 낮다고 항상 불법 복제율이 높다고만 말할 수는 없으며, 다른 요소들도 꽤 크게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래 링크의 말처럼, '소득이 전부는 아니다'.
http://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0077776 (BSA head의 발언)
개인적으로는 '소득이 낮은 데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복사를 역시 조장할 수 있다' 정도 아닌가 한다.
漁夫
덧글
하기야 이건 제가 장비 판매 회사에 있기 때문에 돈 모자란 고객은 못 사는 상황에 익숙해져서 더 단호하게 주장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잘 보고 갑니다 .
감사합니다.
깡촌 뉴질랜드가 2위라니...
...마음만은 턱별시인가(라기보다는 원체 규모가 작아서 + 당시라면...인터넷이 상당수 모뎀으로 돌리고 있을 때(--;)이기도 하고...그래서 인 것 같음)?
그런데 '개인주의가 강해지면 사람들이 더욱 부유하고 행복해진다'는 말도 꽤 설득력이 있는 형편이라서 어쩌면 연관이 있을지도..
네 전 추측만 했는데 꽤 명확하게 나오는 편이네요. 하지만 인과 관계라고 주장하려면 더 신중해야 할 것입니다.
근데 대만이....
저 불법복제율이 개인보다는 기업의 불법복제율이 더 많이 반영됬을거라 보는데 반대로 말하면 불법복제율이 낮은 나라는 그만큼 기업활동의 안전장치도 잘 되있는게 아닌가 합니다.
원문에는 뒤편에 대만의 정책 얘기가 나오는데 모범 사례로 소개하고 있는 듯. (사실 그 부분까지는 다 안 봤습니다 -.-)
전체 인기글에 오랜만에 올라가 보네요 ;-)
중국 보소 ㄷㄷ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