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cientia Lux Mea ]
지난 번 방명록이 댓글이 100개가 넘어서 update합니다. ^^ [ 지난 방명록 1. 2. 3. 4. 5. ]
인사하고 싶으시면 여기에 리플을 달아 주십시오. 불펌에 대한 제 정책은 불펌주의 문제를 참고하시길.
주의 ] 여기서는 이유가 무엇이건 리플에서 서로 욕에 가까운 언사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漁夫 올림 [ 맨 위 왼편 이미지 ; (c) RCA, Soria edition (Munch/BSO - Berlioz 'Romeo & Juliet') ]
[ 다른 분들께서 보는 이 氷屋 풍경 묘사 ]
1. 나무위키(舊 엔하위키)의 과학밸리 항목과 음악밸리 항목
2. 물론 여기를 싫어하는 분도 있지요. 영광스럽게도 정치사회적 인식에서 '쓰레기 공돌이'란 소리도 들었습니다. 하하.
cf. 1. 제 옛 홈페이지를 http://trmsolutions.co.kr/music으로 일원화했습니다. 많은 방문 바랍니다.
cf. 2. 홈페이지가 장점도 많지만, 바로바로 update 하기 힘들고 블로그처럼 상호 연결이 금방 되지
않는 단점도 분명히 있죠. 사실 제가 블로그를 쓰는 이유가 빠른 update가 가능하다는 점 때
문입니다.
cf. My valley


[

아래는 북아메리카의 포유류 중 하나인 fisher.

식성은
Almost the only siginificant predator of porcupine (see the photo below)
When it preys on porcupines, it attacks the porcupine's face repeatedly until the porcupine is weakened from trying to defend itself. It will eat the porcupine's organs first and save the rest of the kill to eat over the next couple of days. Fishers don't always win battles with porcupines and they are sometimes badly injured or killed by the porcupine's quills. The fisher also eats fruits, berries, plants and carrion. The fisher, despite its name, rarely eats fish. [ from http://www.nhptv.org/natureworks/fisher.htm . ]
아래는 호저(porcupine), photo from http://www.nhptv.org/natureworks/porcupine.htm
Almost the only siginificant predator of porcupine (see the photo below)
When it preys on porcupines, it attacks the porcupine's face repeatedly until the porcupine is weakened from trying to defend itself. It will eat the porcupine's organs first and save the rest of the kill to eat over the next couple of days. Fishers don't always win battles with porcupines and they are sometimes badly injured or killed by the porcupine's quills. The fisher also eats fruits, berries, plants and carrion. The fisher, despite its name, rarely eats fish. [ from http://www.nhptv.org/natureworks/fisher.htm . ]
아래는 호저(porcupine), photo from http://www.nhptv.org/natureworks/porcupine.htm

태그 : 방명록
덧글
천조국은 군사 면에서만 천조국이 아닙니다.
뻔한 이야기만 하는 느낌입니다.
37%정도밖에 안읽었으니 좀더 읽어봐야 겟지만..
그렇다면, 누가 뭐래도 多翁의 작품들 중 설득력이 최대인 것은 '총, 균, 쇠'일 듯하군요. 그 다음이 '제 3의 침팬지'고요....
어부님. 아빠늑대님 블로그에서 이런 유머글을 봤는데. 그냥 인터넷 개드립일 뿐이라지만 어부님이 올리신 남녀 행동패턴의 차이에 대한 글들이랑 뭔가 매치되는 것도 있는 것 같아서 한번 소개해보는건데. 제가 뭘 제대로 잘못 본 건가요? 아니면 어느정도는 그런 요소를 정확히 짚어내고 개드립을 뱉어낸 글 같나요? 뭐 그냥 일종의 과밸 지식즐같은 겁니다만.
이러다보니 글이 매우 뜸했습니다....
참고로 푸르트벵글러의 마탄의 사수 1954년도 전곡 실황 녹음은 일부 복각 회사 (예를 들어 타라..) 에서는 스테레오라고 하고 발매하는데,
실제로 스테레오가 맞습니다. 정확히는 마이크 두개를 세팅을 다르게 해서 스테레오 효과를 만들었다고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제가 어쩌다가 타라반 음원을 파일로 가지고 있는데, 들어보면 좌우가 확실하게 구분되어 있긴합니다. 특히 2막 피날레 부분에서 스테레오 효과가 매우 잘 잡혀(!)있습니다.. 다만, 서곡 녹음 중간에 뭔 이상한 일이 있었는지, 순간적으로 소리가 한쪽에서만 들리는 현상이.......
나중에 이와 관련된 간단한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언제일지는 모르겠지만...
어떻게 됐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좀 희한합니다.
xylene 이라는 유명한 용매가 화학쪽에 있다고 들었습니다. 이걸 자동차 엔진오일에 엔진 내 탄소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해서 넣는다고 했을때 어떤 결과와 부작용이 예상되는지 짤막하게나마 의견 부탁드립니다. (_ _);;;
xylene은 벤젠 고리에 두 개의 methyl기 (-CH3)가 붙은 것으로 석유화학 원료이자 용제로 널리 쓰입니다. 우선 http://cafe.daum.net/mecha4222/2TpF/50?docid=1PkD4%7C2TpF%7C50%7C20120508073228&q=%BA%D0%BC%AE%BF%A3%C1%F8 의 내용이 맞다고 하면 (기본적인 화학적 내용은, 제가 아는 한에서는 크게 틀리지 않는 듯합니다) xylene은 휘발성이 상당하기 때문에 (탄소 원자 수가 8개에 불과) 많이 사용한 엔진 오일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추가한 셈입니다. 특히 xylene은 침투력과 용해 성능이 제법 세기 때문에 고무나 기타 부품을 변형시키거나 수명을 줄일 수가 있습니다. 솔직히 불용성에 가까운 탄소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는 말은 제가 잘 판단을 내릴 수가 없네요. 아무리 xylene이 좋은 용매라도 탄소를 '녹여서' 제거하지는 못합니다. 물리적으로 쓸어 나간다거나 한다는 얘긴데, 이건 제가 말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닙니다.
참고로 유사휘발유(세녹스나 기타)에 대해서는 http://www.kofst.or.kr/kofst/PDF/2004/n1s416/GGDCBE_2004_n1s416_38.pdf 가 적절해 보이네요. 참고가 될 것입니다.
자동차 튜닝 업계쪽에서 최근 사용중인데, 이걸 엔진오일에 섞어서 엔진 내부의 카본 슬러지를 제거하여 연비가 좋아지고 출력이 올라간다는 주장을 하는 아이템인데, 아무리 봐도 이것만으로 그렇게 큰 개선을 할 수 없을것 같아서 물어보러 다니고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네이버에서 진화심리학의 오류에 대해 서술하는 글을 봤는데. 저기 본문에 나온 내용들도 참 그럴듯하게 정황이 맞춰져 있어서 그런데 비전문가인 입장에서 대체 어떻게 받아들여야 올바른 걸까요?
저 반박 중 몇 가지는 이미 본 것인데, 저는 마찬가지로 저 주장도 반박이 가능하다는 얘기밖에 못 하겠네요. 제 포스팅에서도 많이 다뤘던 소재들이라. 저 네이버 포스팅에 반대되는 사례도 찾아보면 아마 얼마든지 나올듯.
대부분의 진화심리학과 사회생물학에 대한 오해들은 John Alcock의 '사회생물학의 승리'를 보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http://theacro.com/zbxe/special1/5043151
Buller가 진화심리학을 비판한 논지에 대해 재반박을 한 Daly & Wilson의 말이 올라와 있습니다. Buller는 소위 '신데렐라 효과(step-parents의 아이들 학대)'를 비판했는데, 이 분야의 개척자라 할 Daly & Wilson의 반론을 싣고 있죠.
꽃가루 님의 리플을 보면 '기저확률'의 중요성 언급이 있는데, step-parents에 의한 아이 사망이 숫자로는 적다 해도 step-parents가 친부모보다 적다는 점을 고려에 넣어야죠. 그리고 흥미있는 점이라면, 친부모가 아이를 살해했다 해도 계부모가 부추긴 경우를 언급하고 계십니다. 우리 나라에 이런 사례가 있는진 모르겠습니다만 http://news.donga.com/Main/3/all/20130815/57032869/1 같은 기사도 있었지요. 저는 http://fischer.egloos.com/4822096 여기서 언급했듯이 '알고 지내던 회사원과 다시 동거를 했다'는 사실과 전혀 무관하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ps. 원글이 아마 redian에 올라왔던 모양입니다. 속단은 금물이지만 redian이라면 진화심리학 반대 쪽을 거부할 가능성이 절대 높다고 볼 수는 없겠지요.
정치 중립처럼, 공직자 종교 중립도 법으로 만들어야 하려나요.
----------------------------------------------
http://theacro.com/zbxe/5055427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140524051705866&RIGHT_REPLY=R40
----------------------------------------------
닉이 'block 우려'가 있어서 이렇게 바꾸었습니다. 이전에 다른 분의 리플 때문에 posting 자체가 block 당한 일이 있어서 그렇습니다.
거의 동의하는데, 지금 보수에서 '친일'이 얼마나 남아 있는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한국적 '기독교'의 많은 사고방식이 문제가 크다는 데는 저도 동의합니다) 지금 저런 소리는 선거에 하등 도움 될 게 없지요.
- 비욜링
LM-105(10') Great Tenor Arias by Jussi Bjorling
LM-7007(10') Operatic Duets with Jussi Bjorling
LM-6051 Verdi - Rigoletto (2LP) * 미국 본사에서 발매한 하이라이트 버전은 존재하지 않음
LM-9811-C (독일 로컬 발매) 토스카 하이라이트
LSC-2359 푸치니 투란도트 하이라이트 발매
- 루빈스타인
LM-52 Faure : Quartet op 15 - Rubinstein With Pagagini Quartet
LCT-1009 Beethoven - Piano Concerto No 3 : Rubinstein, Toscanini NBC
LM/LSC-3013 Beethoven - Piano Concerto No 1 : Rubinstein, Leinsdorf BSO * 2번은 단독으로 발매된적이 없음
LSC-3055 (NO LM) Chopin - Piano Concerto No 2, Fantasy on Polish Airs : Rubinstein, Ormandy, PO
LSC-3122 (NO LM) Schubert - Piano Sonata No 21 : Rubinstein
LSC-3108 (NO LM) Schumann - Piano Works (op 16, 18 etc) : Rubinstein
LSC-3165 Saint-Saens - Piano Concerto No 2, Falla - Nights in the Gradens of Spain : Rubinstein, Ormandy, PO
LSC-3186 (NO LM)
LSC-3252 (NO LM) Dvorak : Quartet op 81 - Rubinstein With Guarneri Quartet
LSC-3253 (NO LM) Brahms - Piano Concerto No 2 : Rubinstein, Ormandy, PO
LSC-3340 (NO LM) Dvorak : Quartet op 87 - Rubinstein With Guarneri Quartet
LM-9008 - 실제 엘피에서는 수록 시간상 관계로 드뷔시의 곡 두 개가 제외되었고, '거창한' 박스에는 포함
LSC-2068 - 나중에 리스트 협주곡(1956년 녹음)이 같이 들어간 상태로 재발매 (라이너 박스에는 가장 먼저 나온게 발매된 셈이죠)
LSC-7050 - 모노 발매 : LM-7050
- 하이페츠
LCT-6 Prokofiev - Violin Concerto No 2 : Heifetz, Koussevitzky BSO
LCT-1010 Beethoven - Violin Concerto : Heifetz, Toscanini NBC
LCT-1016 Brahms - Concerto for Violin, Cello : Heifetz, Feuermann, Ormandy PO
LCT-1017 Schubert - Trio D 898 : Rubinstein, Heifetz, Feuermann
LCT-1020 Beethoven - Trio op 97 : Rubinstein, Heifetz, Feuermann
LCT-1021 Mozart - Divertimento KV 563 : Primrose, Heifetz, Feuermann
LCT-1022 Brahms - Trio D 898 : Rubinstein, Heifetz, Feuermann
LM-7017 Conus - Violin Concerto, Chausson - Poeme : Heifetz, RCA VSO, Solomon
LCT-1122 Franck, Strauss - Violin Sonata : Rubinstein (Franck), Sandor (Srtauss), Heifetz
LCT-1150 Mozart - Divertimento KV 563, Duo KV 424 : Primrose, Heifetz, Feuermann (KV 563)
LCT-1160 Dohnanyi - Serenade op 10 : Primrose, Heifetz, Feuermann
Gruenberg - Violin Concerto : Heifetz, Monteux, San Francisco Symphony Orchestra
LSC-3048 Mozart - String Quintet KV 515 : Heifetz, Baker, Primrose, Majewski, Piatigorsky
Mendelssohn - Trio op 66 : Heifetz, Primrose, Piatigorsky
LSC-3205 Heifetz on TV
LSC-3232 (영국 로컬 발매??) Heifetz Showpieces
LSC-3233 (영국 로컬 발매??) Heifetz Encores
LSC-3256 Heifetz Encores
p.s. 아무래도 RCA에서는 LSC 3000 번대 중반 이후로 모노날 발매를 접은 것 같습니다.
LSC 3000 이후는 아직 본격적으로 추적을 하지 않아 빠진 게 많을 겁니다. 그리고 LCT는 78회전 복각 시리즈라 아직은... ㅎㅎ
너무 무리해서 그러실 필요 없습니다. 뭐, 슬슬 추적하죠. 전 RCA 말고도 추적하는 레이블이 몇 개 더 있어서요.
최근 총균쇠를 비평하는 글 하나를 봤습니다.
(http://blog.aladin.co.kr/m/704638105/7189936)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총균쇠를 읽은지 오래라서 판단하기 어렵더라구요.
P.S.싸움붙이려는 의도는 아닙니다^^;
예를 들면 "중국은 지리적 장애물이 유럽 대륙보다 적어서 뒤쳐지게 되었다"라는 논증에 대한 비판은 적절치 않나 싶어서요.
물론, 저 링크 글의 원색적인 표현들이라든가, 다이아몬드를 "유럽우월주의자"나 "환경결정론자"로 묘사하는 것에 동의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몇 가지 부분은 (특히 위에서 언급한 중국) 짚어볼만 한 것 같습니다.
사실 총균쇠에서 지적해야 할 점은 몇 가지 논지가 벌써 시대에 뒤쳐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결핵균 http://fischer.egloos.com/4882895 , 북아메리카 이주 http://fischer.egloos.com/4720277 , 왜 유라시아가 가축화에서 앞섰나 http://fischer.egloos.com/4546729 이런 것들이죠. 이 분야 과학적 진보가 DNA 검사 기술이 급격히 좋아지고 data가 쌓이면서 굉장히 빨라졌거든요.
1. 지난번 Casta Diva 녹음은 알고 보니 실황 녹음이네요 ㅎㅎㅎ ina에서 라이센스 받아 나왔다능
2. 이 박스는 크게 (1. Ducretet-Thomson, 2. Columbia (프랑스 지사), 3. Pathe, 4. Les Discophiles Francais, 5. EMI) 에 남긴 녹음을 담았습니다. 프랑스 비메이저 회사에서 남긴 녹음을 체계적으로 정리해서 나왔기 때문에 녹음 일자 등등이 자세하게 적혀있긴합니다만, 일부는 녹음 마스터 테이프가 분실 (상태가 안좋은게 아니라 진짜 없어진 상태) 이라 그냥 LP에서 복각해서 만들었다고 합니다.
그나저나 아주 예전에 복각해서 한동안 블로그에 공개했던 바흐 관현악 조곡 2번이 여기에 들어가 있네요. 기분이 미묘합니다 ㅎㅎㅎㅎ
2번이면 리스텐파르트 지휘 DF인가요. 그게 정식 복각되다니 ㅎㅎ
Pathe하고 Columbia는 영국에서 HMV와 Columbia가 그랬듯이 그냥 Section입니다. 제가 그래서 둘을 따로 부르지 않죠....
- 네 그 지휘 녹음 맞습니다. 심지어 제가 가진 엘피 자켓으로 내지가 ㅎㅎㅎㅎ 날짜는 이거 사면서 알았는데, 크리스마스 직전에 녹음했더라고요.. 이거보면 랑팔도 참 부지런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 저도 Pathe하고 Columbia의 관계는 어부님처럼 생각하는게 맞다고 보는데, 내지는 일부러 구분해서 적었더라고요. 서류 펀의상 그런거 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댓글에서 언급된 칼라스와 랑팔만 해도, 예전에 정리해서 나오는 박스가 있긴했었습니다만,
요새처럼 '원컬렉션, 원박스' 의 느낌을 가지는 박스가 요새처럼 흔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면..
이번달에는 펄만의 워너 (가 판권을 가지는) 녹음 전집이 나오고,
조만간 길레스와 브렌델, 그리고 DG 111주년 박스가 나온다고 하니...
(그 와중에 아직 사망도 안하셨는데 전집 개념으로 나온 오자와 박스는 둘째치고..)
시디 사업을 천천히 마무리하려는거 아닌가 생각이 드네요.
저도 끝물로 보기 땜에 - 얼마 전에 미국 갔다 왔는데 여긴 CD 파는 데는 간간이 보입니다만 클래식은 아예 안 갖다놓는 비율이 높더군요 - 좀 기분이 묘합니다.
벌이나 개미같은 반수이배체 생물에서 암컷인 일벌은 여왕벌로부터 50%의 유전자를, 수펄로부터 100%의 유전자를 물려받아 같은 일벌끼리는 75%의 유전자를 공유한다는 계산이 어떻게 나오는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고맙습니다.
이글 잘 읽었습니다 ^^
P.S. 1. 웨스트민스터도 10인치 발매를 한 것으로 보입니다만, 딱히 검색에 잡히는 것이 없어서 작성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레밍턴은 '뮤직 플러스'라는 시리즈로도 발매한 것이 있긴합니다만, R-149, 199에서 이미 발매된 것들이라서 별도로 작성하지는 않았습니다.
2. 이번에 완전히 정리하면서 느낀건데 웨스트민스터에서 시디로 안 나온 녹음이 정말 많다는 생각이 듭니다. 몇해전에 나온 거창한 박스처럼 박스 여러개 만들고도 남을 지경. 그나저나 지금 레밍턴사의 녹음 테입이 미국 정부에 압수되어 있다는 카더라가 통신이 있더군요. 예전에 알x모 사이트에 발매를 건의한 적이 있는데, 이러면 시디 발매는 ㅠㅠ
대단히 감사합니다. 물론 '선물'이 딸려 있습니다. ;-)
참고로 지난번에 언급된 업로드 문제 말인데요, 혹시 오류 메세지를 그 사이트 관리자한테 보내보심이 어떠실지요?..
전에 한 번 얘기한 적이 있는데 자기는 아무 이상 없이 잘 된다고 하니 제가 뭐 더 할 말이 없어서 안 하고 있죠...
+ 파일 업로드 문제는 상세하게 알지 못해서 뭐라 말씀드릴 수가 없습니다만, 아무쪼록 잘 해결되었으면 하네요..
요새는 오이스트라흐 디스코그라피가 안되더군요.아무튼요
유튜브에 보면 1963년도에 로제스트벤스키와 같이 연주한 차이코프스키협주곡이 있던데요 좋더군요
혹시 이 연주가 실린 앨범 있습니까?
http://trmsolutions.co.kr/music/Oistrakh/discography-oistrakh.htm
여기에 초반 자켓들과 오이스트라흐 사진들도 올렸으니 보셔요.
로체스트벤스키면 대개 68년 60세 연주회만 팔려서... CD론 못 본 듯합니다.
붙여주신 url은 폰으로는 안되네요 컴으로 보겠습니다
안녕히 계십시오
이해를 돕기 위해서가 아니구요 이제 그런일은 그냥 그런가보다 하고 지나가히라구요
EMI가 낡은 장비로 녹음했다는거나 CBS가 스테레오를 뒤늦게 시작했다는건 후대에와서 화가 나는 일이지만 다 자나간일 아니겠습니까?
리히테르의 미국데뷰공연을 들어보면 CBS와 RCA의 음질차이가 땅과 하늘차이만큼 납니다 물론 모노와 스테레오지요 모두 RCA가 녹음했다면 추복이었겠지만 그 또한 지나간 일이지요
그나마 부다페스트의 마지막 베토벤사이클을 온전히 스테레오로 남긴 걸 오히려 감사해야할 지경입니다
괜히 길어졌습니다
새해에는 좋은 일 많으시길 바랍니다
제가 아는 분께서는 리히테르 음질이 차가 나는 이유가 소련 관계자가 '우리 스테레오 장비를 동원하겠다'는 Columbia(US) 측의 제안을 거절하는 바람에 그렇게 됐다네요(CD box 내지에 있다고 합니다). 카네기 홀에서 Columbia 녹음들을 들어 보면 음향이 그리 못하지는 않으니 말입니다.
첼로소리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셔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