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3/03 00:26

주의력의 한계 Evolutionary theory

  채선당 사건 피해자의 말 중에서(shaind님)를 트랙백.

  사실 인간의 주의력에는 한도가 있다.  누구건 간에, 음악을 켜 놓은 채로 열심히 공부를 하거나 책을 보다가 집중이 풀리면, '음악이 이렇게 많이 지나갔나'라 느끼거나 상당 시간의 음악 기억이 '증발'해 있는 경험은 대부분 있을 것이다.  漁夫는 저 당사자의 의식에는 점주가 아니라 사자가 자신을 물어 올리더라도 당장 아무 차이가 없었을 것이라는 데 100원 걸 의향이 있다.
  왜 이런 선택적 주의 현상이 일반적일까?  답은 인간의 두뇌를 돌리는 데 돈이 많이 들고(현대에도 큰 컴퓨터를 돌리는 데는 돈이 많이 들기는 마찬가지다), 특정 사건(event; '사고'의 의미가 아니다)을 추적하는 데 가능한 정보량이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것보다 매우 크다는 이유 때문일 것이다.   

  .. 간단한 계산만으로도,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장, 문장의 의미, 체스 게임, 선율, 볼 수 있는 물체 등등의 수가 우주의 입자(sic.)보다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1] 정보처리기는 천문학적인 숫자의 입력과 출력 또는 질문과 대답들을 저장하기보다는 정보의 부분집합들을 한번에 하나씩 처리하고 필요할 때에만 답을 계산하는 규칙 또는 알고리듬을 필요로 한다. 

 - 'How the mind works(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Steven Pinker, 김한영 역, 동녘사이언스 刊, p.224

  이 때문에 생물은 중앙 처리 장치에서 집중적으로 처리할 정보를 선택하게 된다.  즉 자신이 현재 중요하다고 판단한 사건에 관계된 것이 아니면 정보를 제대로 모으지 않는다.

  아실 분은 이미 아시겠지만, 아래 영상에서 시키시는 대로 한 번 해 보시길.  아시는 분께서는 그냥 넘어가시고.




  등장 인물들이 패스 몇 번 했는지 맞추셨는가? ;-)

  漁夫

  [1] 진화심리학에서 흔히 나오는 얘기가 '(정보량의) 조합 폭발(explosion by combination)'이다.


핑백

  • 漁夫의 'Questo e quella'; Juvenile delinquency : 오늘의 한마디('13. 2. 4) 2013-02-04 22:06:24 #

    ... 훌륭하다. 하지만 수천 명 이상을 다루는 현대 사회에서 언제까지 진화가 우리에게 준 능력들에만 일차적으로 의존해야 하나? 인간의 기억과 주의력에는 한도가 있다(포스팅. 안 해 보셨다면 시험해 보시길). [2] 이 포스팅에서 말했듯이 나는 찬성한다. 주민등록증이 괜찮다면, 이게 문제일 이유가 있나? ... more

덧글

  • Allenait 2012/03/03 00:34 # 답글

    저 동영상이라면 본 기억이 나는군요. 비슷한 걸로는 커텐 색이 변하는 것도 있었던 것 같습니다.
  • 漁夫 2012/03/03 21:22 #

    네 shaind님께서 유투브 주소 알려주셨습니다. 꼼짝 없이 속았습니다 ;-)
  • 누군가의친구 2012/03/03 00:34 # 답글

    아니, 전 14번 패스했는줄 알았는데 말입니다. 으헣허허허헣...
  • 漁夫 2012/03/03 21:22 #

    ㅋㅋㅋㅋ 고릴라는 기본?
  • 푸른미르 2012/03/03 00:53 # 답글

    25번 패스네요. 정확한지 모르지만 그래도 고릴라는 보이는군요.
    생각해보면 고릴라를 보지 못하는 것은 오히려 집중력이 좋다는 장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 漁夫 2012/03/03 21:23 #

    .... 근데 답은 15번인데요.... ;-)
  • 대공 2012/03/03 01:02 # 답글

    그 유명한 고릴라 영상. 전 숫자 세다가 고릴라가 나와서 환호성을....그리고 15개(씨익)
  • 漁夫 2012/03/03 21:24 #

    씨익
  • 소드피시 2012/03/03 01:11 # 답글

    주의 자원은 한계가 있지만 저 경우는 쇼크에 의한 부분적 기억편향 내지는 오류 같습니다. 인간은 종종 상황에 따라 오기억을 형성하곤 하거든요.
  • 漁夫 2012/03/03 21:26 #

    네, 물론 그랬을 가능성도 있습니다만, 저는 좀 보수적으로 '쇼크가 없더라도 제대로 판단하지는 못 했을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상황에 따라 잘못된 기억을 형성하는 경우야 많지요. 다 각자 경험이 있으셨을 테니 그건 넘어가고, 그렇게 남은 기억들을 지우는 과정도 필요한데 그건 tbC ㅎㅎㅎ
  • shaind 2012/03/03 07:31 # 답글

    요샌 다들 저 동영상을 하도 많이 봐서 그것보다는 http://youtu.be/IGQmdoK_ZfY 이쪽의 속편이 더 효과적일듯합니다. (...)
  • 漁夫 2012/03/03 13:10 #

    네, 저도 다 놓쳤습니다 -.-
  • shaind 2012/03/03 07:43 # 답글

    주의에서 "비용"이라는 측면이 중요하군요. 주의력이나 기억이 그런식으로 발휘되는 이유라는 측면에서 "비용"은 많은 insight 를 주는 것 같습니다.

    생각해보면, 기억이나 학습에서도 "기존에 기억하는 정보와 잘 연결되는 정보가 더 잘 기억되는 현상" 같은 것도 이런 비용문제와 관련이 있지 않을까 합니다.

  • 漁夫 2012/03/03 21:33 #

    생물에서는 자원을 필요 이상으로 낭비하는 개체는 불이익을 받습니다. 비용-효율 계산은 진화론자들의 생물 연구에서 필수적입니다. 얼마 전 포스팅했던 '요리 본능'에서도 비용 계산이 대단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네, 뇌에 주는 부담 측면에서 기존 정보와 연결되는 편이 좀 수월하지요. 부분적으로는 shaind님이나 저나 과학에 대한 정보와 뜨개질에 대한 정보량을 똑같이 접해도 전자를 헐 잘 기억하는 거나 마찬가지입니다..............
  • RedPain 2012/03/03 08:08 # 답글

    저 동영상 처음 TV에서 봤을 때는 고릴라를 못 봤다는 사실 때문에 깜짝 놀랐는데 지금은 패스하는데만 집중하려고 해도 보이는군요. ;;
  • 漁夫 2012/03/03 21:34 #

    전 미리 알고 봐서 항상 고릴라가........
  • kuks 2012/03/03 09:57 # 답글

    흰옷입은 사람과 패스횟수만 세다보니 상상도 못한 고릴라가 왠 말입니까? ㅋㅋㅋ

    그렇찮아도 요즘 교과과정에서는 정보의 선별쪽으로 선회하고 있다고 하더군요.

    저는 개인적으로 선별해서 받아들이기 보다는 나가리(?)를 선별적으로 하는 스타일이긴 한데, 이번 영상자료에 대해서는 별로 좋은 대응방안이 아닌 것 같습니다.
  • 漁夫 2012/03/03 21:36 #

    후편인 http://youtu.be/IGQmdoK_ZfY 이건 어떠신가요? ㅎㅎㅎ 이 영상엔 리처드 도킨스도 넘어갔다고 하니 뭐....

    고등학생들의 부담이 큰 건 사실이지요. 근데 우리 나라에서 입시 전쟁과 대학 서열화가 나타난 가장 근본 원인은 좁은 나라에서 지위 경쟁을 하는 때문이기 때문에 이게 얼마나 개선될지 모르겠습니다.
  • kuks 2012/03/03 23:02 #

    후편도 충격의 연속이군요. ㅎㅎㅎ
    리처드 도킨스가 누군가 했는데 방명록(메인)의 그 분 아닙니까? 오~
  • 漁夫 2012/03/03 23:53 #

    도킨스는 '지상 최대의 쇼'에서 제가 포스팅에 삽입한 동영상에 꺼벅 속아 넘어갔다고 고백(!) 하더군요.

    도킨스가 아니라 '이기적 유전자'라고 말하면 알아들을 분이 많으실 듯.
  • Hayyam 2012/03/03 12:12 # 답글

    고릴라는 봤는데 정작 숫자를 틀렸네요 orz
  • 漁夫 2012/03/03 21:36 #

    하하하.
  • qwerty 2012/03/03 16:25 # 삭제 답글

    본문과는 관련 없지만 한가지 딴지를 걸자면
    '맞추다'가 아니라 '맞히다'로 써야 합니다ㅋ
  • 漁夫 2012/03/03 21:36 #

    하하 그렇네요 ㅎ
  • net진보 2012/03/03 18:08 # 답글

    하기야 기억이라는것도 기억하기위해 불필요한 정보를 삭제기켜서 가능한거니...............
  • 漁夫 2012/03/03 21:37 #

    이미 들어간 기억을 삭제하는 방식도 재미있는데 tbC
  • 파김치 2012/03/03 20:50 # 답글

    바로 앞으로 지나가는데도 못 봤네요, 고릴라...
  • 漁夫 2012/03/03 21:38 #

    뭐 저도 미리 알지 못하고 봤다면 넘어갔을듯.

    http://youtu.be/IGQmdoK_ZfY 이거 해 보셔요~
  • 미스트 2012/03/03 21:28 # 답글

    이제 이거나 이 비슷한 버전들은 워낙 많이 봐서 에레이~ 하는데
    위에 shaind 님의 링크는 .... ㅠ_ㅠ 다른거 다 봤지만 한 명 나가는건 못봤네요. 엉엉. ㅠ_ㅠ

    뭔가 변화가 있을거라는걸 알고 봐도 놓치는데, 아무 생각없이 본다면 정말 여러개 놓칠 듯...
  • 漁夫 2012/03/03 21:40 #

    주의력에는 한도가 있게 마련이지요. 사람의 기억을 너무 신뢰하면 곤란합니다 ^^;;
  • 대공 2012/03/04 00:07 # 답글

    속편은 큰건 맞췄는데 작은건 틀렸습니다. 근데 작은건 너무 타이밍이 절묘해서리...미스트님 덧글 전에는 눈치도 못챘습니다.
  • 漁夫 2012/03/04 16:16 #

    저도 벙쪘죠. 커튼 바뀐 것도 못 알아차렸거든요 -.-
  • 마이 2012/03/05 02:51 # 답글

    저.. 고릴라도 보고 패스 수도 맞췄으면 뭔가요..???
  • 漁夫 2012/03/05 08:37 #

    http://youtu.be/IGQmdoK_ZfY 속편은 어떨까요 ;-)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내부 포스팅 검색(by Google)

Loading

이 이글루를 링크한 사람 (화이트)

831

통계 위젯 (화이트)

2434
116
1319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