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비밀 리플 주신 두 분, 내용을 알려주신 데 감사드립니다. 꾸벅 ]
KAIST 재학생 통신망이 ARA(아라)라고 아는데 거기서 여기를 어제 오늘 열심히 방문하는군요.
http://ara.kaist.ac.kr/board/garbages/254189/?pa...no=1
ARA는 관계자밖에 볼 수 없기 때문에 뭐라고 link가 걸렸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가끔 이런 비공개 URL에서 방문이 폭주하는 수가 있는데, 궁금하지만 보통 그냥 넘어가게 마련.
ps. 정황상 아무래도 의학-한의학 논의 posting thread가 링크로 올라온 듯.
2. 30대 결혼 안 한 남녀 급증... 원인 알아보니(SBS 8시 뉴스)
생활의 쾌적함을 위해서는 번식도 미룰 수 있는 것이 사람입니다. 마찬가지로 자식의 성공 가능성을 올리기 위해서는 자식 숫자를 줄여 대응하기도 하지요.
이건 그다지 놀랍지 않습니다만, KDI에서 내놓은 대책이 개인적으로 정말 재미있습니다. ;-) 이렇게 되려면, 혼외 관계(미혼모 및 동거 관계 등)에서 태어나는 아이들의 수가 어느 정도 '임계 수준'에 도달해야 합니다. 일단 더 이상 특별한 일이 아니게 되면, 당사자들에게도 더 이상 큰 문제가 아니겠.....

근데 언제까지 기다려야 되겠냐고
저 뉴스 보면 우리 나라는 혼외 관계 출생자 비율이 2.3%인가 3.2%였음. 근데 비교 대상인 유럽 국가들은 40%를 상회....

어제 이런 트윗을 한 적이 있습니다.
성의 경쟁에서 여성들이 대체로 미모를 무기로 쓴다는 걸 감안하면 실로 적절한 표현 RT @_DaNiL_P 여자들끼리 만났을 때 "야 너 이뻐졌다!" "어 너도!" 하는건 마치 옛날 무사들이 서로 마주쳤을 때 "강해졌군 이녀석" 하는거랑 다를 바 없다”
어쨌건 오래 가면서 좋은 도구(무기도 물론 포함)를 만들려면 돈 많이 든다는 점에는 동서고금이 다를 바 없습니다. 믿을 만 한 도구 제작자를 찾아가도록 주변 여자분들께 권장하시면 바람직하겠음.
ps. 결혼 전의 남성 제군께서는 믿을 만한 도구 제작자보다는 믿을 만한 정책 조언자를 찾아보시기 바람. 결혼 후라면 도구 제작자도 도움이 될 수 있음.
4. 민주당 'ISD 폐기' 당론 재확인(SBS 뉴스)
미국, 이 대통령 '재협상 카드'에 긍정적 반응(SBS 뉴스)
민주당 Ganbare!
이건 절대 비꼬는 언사가 아닙니다. 진짜 진지하게 하는 소리입니다. 정말입니다 정말 정말 정말 정말 정말 정말 정말
그 이유는 sonnet님의 포스팅으로 대체.
漁夫
덧글
2. 챠우셰스쿠의 아이들 사례까지는 아니더라도 정부에서 요구하거나 또는 강제한다고 해결될 문제는 아니지요.
3. 여자의 미모와 눈물은 정말... 위협적?이지요. ㅎㅎㅎ
4. 협상에서 극단적인 요구사항을 특정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닐텐데... 어쨋거나 민주당 화이또!!!
2. 한국은 애 가질 경우 현재 잃는 게 꽤 많지요.
3. 하하하!
4. 추측 보도겠지만 미국도 한국과 FTA를 꽤 중요하게 보고 있다던데, 이러면 한국 쪽에서 좀 느긋하게 나가도 득볼 게 있을 확률이 있지요.
사실 먼저 재협상하자고 요구하는 구도를 안고 들어가면 십중팔구 상대편은 이렇게 나오지요.
"재협상? 뭐 그렇게 하죠. 그럼 그대신 니들은 뭘 내놓을 건데요?"
뭐 기회를 얼마나 잘 활용하는가는 우리 쪽 능력에 달려 있긴 하지만... (이 점은 솔직히 걱정스러움)
음 피드 부분공개는 어떤 것 말씀이신가요 @.@
근데 루게릭병이 침술이라니.. 뭐라고 말해야 할지 모르겠군요....
이 글이 링크되었습니다.
"한의학의 과학성 논쟁에 있어 좋은 자료(?)집"이라는 제목으로
자료집이라기보다는 글집인데...
정리도 잘 되어있고, (좀 많긴 하지만) 여러 층위에서 '왜 한의학이 과학인가/아닌가'를 다루고 있는 글묶음입니다.
http://fischer.egloos.com/4304467
라고 쓰여있는 글입니다.
좋은 의미로 적힌 글이니 크게 신경 안쓰셔도 될듯합니다.
4. 경제적인 문제라 과연 얼마나 도움이 될지는 의문스럽지 말입니다.
4. 추측 보도겠지만 미국도 한국과 FTA를 꽤 중요하게 보고 있다던데, 이러면 한국 쪽에서 좀 느긋하게 나가도 득볼 게 있을 확률이 있지요. [3]
문제는 증명된 것을 떠나 싼 가격으로 좋은 결과를 얻으려고 할 때 져야 할 risk지요....
그 괴담을 발판으로 삼는 반대진영은 어째 사상누각에 앉아있는 것 같습니다.
2. 어쩔수가 없죠 ㅠㅠ
3. 와 정말 절묘한데요 비유가 ㄷㄷㄷ
2. 현시창이죠 뭐.......
3. 네 정말 비유는 딱 잡았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