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 수 있을 때 팔아 치워요. 당신에게 시장은 그리 넓지 않으니까'
- William Shakespeare, As you like it' (Judith R. Harris의 '개성의 탄생'에서 재인용) -
- William Shakespeare, As you like it' (Judith R. Harris의 '개성의 탄생'에서 재인용) -
이 말은 어느 등장 인물이 젊은 양치기 처녀 Phebe에게 구혼자(아마도 양치기 Silvius일 듯)의 구애를 받아들이라고 설득하는 과정에서 나왔습니다. 결정적 이유는 Phebe가 미인이 아니기 때문이란 것
==========================================
폐점 효과에서는 술집이라는 단기적 맥락에서 남녀가 어떻게 행동하는지 보았습니다. 이런 단기적 맥락에서는 여자가 보통 느긋하게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입장이지요. 하지만 결혼이라는 장기적 맥락에서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습니다. 결혼 시장에서 여성의 가치는 남성보다 더 빨리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아래 그래프는 특정 연령의 여성에게 앞으로 기대할 수 있는 평균 아이 숫자입니다. 유아 살해[2]에서 가져왔는데, 이 그래프는 진짜 많은 것을 설명해 주는 매우 유용한 도구지요.

이 그래프에서 보면, 여성의 번식 잠재력(fecundity)은 20세 조금 전이 정점이며 어느 편으로 가도 떨어집니다[1]. 물론 남성은 여성 없이는 자손을 가질 수가 없으므로 보통 남성이 여성에게 구애하는 입장이지요. 하지만 여성끼리도(아니, 여성끼리 주로) 경쟁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남성에 비해 여성의 번식 가치는 급속도로 떨어집니다[2]. 미인이면 출발부터 유리한 입장에 서지만, 위 그래프의 곡선은 아무리 미인이래도 용 빼는 재주가 있을리야.
따라서 '골드미스' 처럼 시간의 흐름에 이모저모로 좀 거역해 보려다가는 이런 현시창에 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속설과는 좀 다르게도, 남성은 여성의 부에 그다지 크게 중요성을 두지 않기도 하고 말이지요.
"사회적 지위가 높은 (즉 번식에 유리한 환경을 주는) 남자와 결혼하는 여성은 어린 나이에 결혼하는 경향이 있다"(Robin Dunbar)는 말은, 여성이 결혼 시장에서 자신의 값어치를 예민하게 저울질한다는 점을 보여 줍니다.
漁夫
[1] 더 젊어도 떨어지는 이유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0세~10세 가량까지는 사망 확률이 제법 높고, 25세경
이전에는 월경은 하지만 실제 배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임신 가능한 월경'의 비율은 25세
부근이 정점이고, 그 뒤에 점차 떨어지고 50세 부근에는 거의 틀림없이 폐경(또는 완경)에 도달합니다.
[2] 남성은 폐경 같은 것 없습니다. 물론 정자의 질은 연령에 따라 다소 저하하고, 남성이 성불능 될 확률도
연령에 따라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만 특정 연령 이상의 남성이 번식을 못 하지는 않지요. 실제 남성
이 아이를 가진 최고 기록은 96세입니다.성경 얘기를 진짜라 생각하실 분 없겠죠
==========================================
폐점 효과에서는 술집이라는 단기적 맥락에서 남녀가 어떻게 행동하는지 보았습니다. 이런 단기적 맥락에서는 여자가 보통 느긋하게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입장이지요. 하지만 결혼이라는 장기적 맥락에서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습니다. 결혼 시장에서 여성의 가치는 남성보다 더 빨리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아래 그래프는 특정 연령의 여성에게 앞으로 기대할 수 있는 평균 아이 숫자입니다. 유아 살해[2]에서 가져왔는데, 이 그래프는 진짜 많은 것을 설명해 주는 매우 유용한 도구지요.

이 그래프에서 보면, 여성의 번식 잠재력(fecundity)은 20세 조금 전이 정점이며 어느 편으로 가도 떨어집니다[1]. 물론 남성은 여성 없이는 자손을 가질 수가 없으므로 보통 남성이 여성에게 구애하는 입장이지요. 하지만 여성끼리도(아니, 여성끼리 주로) 경쟁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남성에 비해 여성의 번식 가치는 급속도로 떨어집니다[2]. 미인이면 출발부터 유리한 입장에 서지만, 위 그래프의 곡선은 아무리 미인이래도 용 빼는 재주가 있을리야.
따라서 '골드미스' 처럼 시간의 흐름에 이모저모로 좀 거역해 보려다가는 이런 현시창에 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속설과는 좀 다르게도, 남성은 여성의 부에 그다지 크게 중요성을 두지 않기도 하고 말이지요.
"사회적 지위가 높은 (즉 번식에 유리한 환경을 주는) 남자와 결혼하는 여성은 어린 나이에 결혼하는 경향이 있다"(Robin Dunbar)는 말은, 여성이 결혼 시장에서 자신의 값어치를 예민하게 저울질한다는 점을 보여 줍니다.
漁夫
[1] 더 젊어도 떨어지는 이유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0세~10세 가량까지는 사망 확률이 제법 높고, 25세경
이전에는 월경은 하지만 실제 배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임신 가능한 월경'의 비율은 25세
부근이 정점이고, 그 뒤에 점차 떨어지고 50세 부근에는 거의 틀림없이 폐경(또는 완경)에 도달합니다.
[2] 남성은 폐경 같은 것 없습니다. 물론 정자의 질은 연령에 따라 다소 저하하고, 남성이 성불능 될 확률도
연령에 따라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만 특정 연령 이상의 남성이 번식을 못 하지는 않지요. 실제 남성
이 아이를 가진 최고 기록은 96세입니다.
덧글
저는 연령에 따른 욕구량 변화에 대해서는 아직 크게 의견이 없습니다. 단 인간은 보노보를 제외하면 '살아 있는 가장 야한 영장류(데즈몬드 모리스)'라는 말이 맞을 것입니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 불현듯 떠오르는 기사가 있어서 퍼옵니다.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70816154905404
재수를 겪지 않고 진학에 성공했을 경우에 한정하여, 여성은 대학 1학년 1학기(만19세) 때에는 아직 고등학생티를 벗지 못한 상태에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느라 바빠 모든 것이 어설프다. 하지만 방학을 거치면서 외모를 가꾸는 법 등을 익혀 1학년 2학기 때 전생애에 걸쳐 최고의 미모를 자랑하게 된다. 이것이 보통 2학년 2학기(만20세) 까지 이어지고 타고났을 경우 3학년 1학기까지 이어진다. 하지만 이후로는 내리막을 걷게 된다. 경사각도의 차이는 있을 지언정.
개인적 경험과 증언 등을 토대도 한 것인데 본문의 그래프와 어째 맞아떨어지네요. ㅎㅎ
어떻든 소시도 대부분의 멤버는 이제 내리막...(응??)
소시가 몇 살인지 잘 몰라서.. 생각해 보면 원더걸스보다 조금 나이가 위였나요?
http://www.skepticalleft.com/bbs/tb.php/01_main_square/97623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8111442021&code=940100
http://economy.donga.com/total/3/01/20110811/39457554/1
...
이혼녀는 상대가 보통(58%) 평생 경제적 풍요를 보장해주길 원하고 최소 집은 갖고 있길 원하고,
처녀는 보통(64.7%) 전세비를 원합니다.
전세비를 집값의 50~60%로 보면 이혼녀 값은 최소 처녀의 약2배입니다.
...
남자 입장에서 생각하면 처녀보다 이혼녀 가격이 비싸다.. 갸우뚱?
하지만 여자 입장에서 생각하면 입장이 다를 것 같습니다.
이혼녀 가격이 높은 것은 처녀보다 더 가치가 있기 보다는 상대인 이혼남 가격이 낮기 때문이지요.
...
제3자가 객관적으로 봤을 때 남자하락값>여자하락값 이라는 결론이네요.
...
현실이 어떨지 궁금합니다. 호가10억 아파트 시세가 진짜 10억은 아니죠.
최근 거래 가격이 시세지요.
저 '여자의 가격' 얘기는 대충 읽었습니다. 이미지 퍼 오기가 귀찮아서 대충만........
하지만 그런 남성들은 더 젊은 여성을(즉 번식 가능성 큰) 좋아하기 때문에...... :-)
http://parkoz.com/bj_emlg
하지만 출산이란 위험을 구체적으로 떠맡아야 하는 여자 쪽에 문제가 더 심각하지요...
So is this situation is valid considering evolution theory?
요즘 여성들은 30대에 초산일 확률이 많이 적습니다 이유는 10대 20대에 많은 여성들이
임신후 낙태를 하기 때문이지요 그러기 때문에 실제로 기사에 나온데로 몸이 폐경기라 생각치
않고 건강한 난자를 배출 하기에 건강한 아이를 낳을 실직적인 확률은 기사보다 더욱 높게 되지요
슬퍼해야 하나 기뻐해야 하나 모를 그런 사실~ㅎㅎ
낙태의 확률은 그대가 생각하는것보다 훨~씬 높습니다
---------------------------------------------------------------------------------------
What a wonderful world. When a old man marry, is it better to find a woman with 낙태 history?
The second factor is the marriage economics. In order to perform high quality strategy, high income is required. But, in general, later the marriage higher the income in developed countries. You can see the logics in the Garry Becker's famous book 'Treatise on family' and 'The logic of life' by Tim Harford.
I agree the 'optimum' can be wealthy men and young women with high fecundity for such a strategy, but it's real case is not very frequent, I thin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