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럴리가. 하지만 이 작가가 왜 이렇게 단언했는지는 다음에 이어지는 문장을 보면 대략 알 수 있습니다.
- 'Why we age(인간은 왜 늙는가)', Steven Austad, 최재천 & 김태원 역, 궁리 刊, p.45

그리고 인간의 역사를 보더라도, 인간처럼 '작은 종'의 경우 유전적 균질도가 상당히 높기 때문에 수명이 수십 % 차이가 날 정도로 유전적 차이가 나는 집단이 존재할 것이라 생각하기는 꽤 어렵습니다.
교훈; '장수 비법'이나 '장수 음식'같은 말에 넘어가면 손해 볼 가능성이 높다.
漁夫
참고] 시리즈의 앞 글은
* 노화의 진화 이론(1) ; 기계와 생물
* 노화의 진화 이론(2) ; 성숙, 생식률, 사망률
* 노화의 진화 이론(3) ; 생식률과 수명의 관계
* 노화의 진화 이론(4) ; 거장들의 공헌
* 노화의 진화 이론(5) ; 거장들의 공헌 - 직관적인 이해
* 노화의 진화 이론(6) ; 잡다한 것들
* 노화의 진화 이론(7) ; 이론의 예측
* 노화의 진화 이론(8) ; 이론의 예측과 실제 I - 사람
* 노화의 진화 이론(9) ; 불로 집단의 안정성 - simulation
* 노화의 진화 이론(10) ; 'undervaluation of the future' I
* 노화의 진화 이론(11) ; 'undervaluation of the future' II
* 노화의 진화 이론(12) ; Gompertz curve - 생물의 사망률 곡선
* 노화의 진화 이론(13) ; 이론의 예측과 실제 II
* 노화의 진화 이론(14) ; All the lazy guys over the world, unite!
* 노화의 진화 이론(15) ; 웹페이지 살펴보기
* 노화의 진화 이론(16) ; 노화 지연의 확실한 방법 I
* 노화의 진화 이론(17) ; 6000억 원의 내기
* [원문/번역] 다면 발현, 자연 선택, 그리고 노화의 진화 - G.C.Williams
덧글
말하자면 굶고 야채만 먹고 하는 게 장수에 얼마나 도움이 될까는 좀 의문입니다만, 맨날 탄고기만 먹고 사는 것보다야 수명을 연장하는 데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일천한 저의 생각입니다. ^^;;
신선한 음식으로 균형 잡힌 식사를 하는 게 최고겠지요.
예전에 일본에서 연금타먹는 100세이상 노인들이 대부분 실재하지 않는 걸로 밝혀져서 난리가 난 적이 있었지요.
후손들의 사망신고 불이행이나 호적정리 미비인 경우가 많다고 하더군요.
위 리플이 읽기에 따라서는 어부님에 대한 직접적인 모욕처럼 보일 수도 있다는 걸 깨닫고 식은땀을 흘렸습니다(...)
거의 유일한 예외 사례; 최소한 XX 유전자를 갖고 있는 사람은 XY 유전자를 갖고 있는 사람보다 거의 모든 환경에서 평균 수명이 몇 년 깁니다. ㅎㅎㅎ
성실이 장수의 원인이란 소리가 아니라 성실한 성격을 가진 사람이 하여튼 오래 사는 경향이 있대요.
성실한 성격 유전자와 장수 유전자가 한배를 타고 있어서 그런지는 알 수 없고요.
(왜냐면 이 책은 과학책이 아니라 통계조사자료를 정리해 놓은 책일 뿐이거든요.)
책에서 1500명의 인생을 80년간 추적한 결과랩니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온 게 성실한 성격 뿐이래요.
사교성, 낙천성, 일상적인 스트레스, 운동 같은 건 별 관련이 없다고 하네요.
(촬사마라든가 늑대별님이라든가 어부님이라든가 기타등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