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관계와 유전, 그리고 건강(Skynet; 오돌또기님)을 트랙백.
오돌또기님의 글 중 한 문단을 주목하면~
사회적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거기에 투자하는 사회적 행동이 유전적 특색이 대단히 강하다는 것을 보여 줍니다. 漁夫 생각에는 '사회적 관계에 대한 투자'도 모두 '행동 전략'으로(즉 '성격'으로) 볼 수 있는 만큼, 특정 전략을 선호하는 성향이 유전된다는 것은 전혀 놀랍지 않습니다. 어떤 생물에게든지 시간은 대부분 유한하다고 볼 수 있으며, 동물의 경우 특정 개체가 어떤 목적으로 시간을 쓴다는 것은 다른 목적에 쓸 시간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하지요. 아시다시피 '시간 배당'은 곧 '자원 배당'이고, 전략으로 간주해 무방합니다.
사람들의 성격은 참 가지가지며, 사람들이 서로를 대할 때 가능한 '전략'이 대단히 여럿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잘 보여 줍니다(그리고 제인 구덜 등에 의하면 '성격'은 침팬지에서도 마찬가지로 잘 관찰할 수 있습니다)[1]. 이 중 절반 정도는 부모가 [유전적으로] 결정하고, 나머지 부분에 영향을 주는 것이 무엇이냐가 큰 논란거리였는데 이 점은 ...... (씨익)
漁夫
[1] 가장 단순한 '매-비둘기'의 전략 대조는 제 ESS 포스팅을 보시길. 사람 성격의 다양함을 볼 때 얼마나 손익 계산이 복잡하겠습니까.
오돌또기님의 글 중 한 문단을 주목하면~
크리스타키스의 연구 중에 또 하나 주목할만한 것은 나의 사회적 관계가 부모의 유전적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사실이다. 상식적으로 당연한 것같아 보이는 소리같지만 이걸 경험적으로, 과학적으로 입증하기가 쉬운 건 아니다. 쉽게 말해서 부모가 소셜한 사람은 그 자신도 친구가 많을 가능성이 높다. 더 흥미로운 것은 부모가 중매쟁이 기질이 강할 때 자식도 친구들을 연결시켜주길 즐긴다고 한다. 혹시 자신이 소개팅 자리를 자주 만들어 주는 사람이라면 부모님한테 슬쩍 물어 보시라. 크리스타키스의 연구에 따르면 유전적 기질이 사회적 관계망 형성과 유지에 미치는 영향은 무척 커서, 50% 정도의 설명력이 있다(나머지 50%는 본인 스스로 터득하거나 학습하거나, 우연적인 요소일 듯).
* 크리스타키스의 홈페이지에서 논문 다운로드 가능. 다 예측 가능하듯이, 이것도 쌍둥이 연구로 유전성을 평가한 것입니다. 전형적인 행동 유전학(behavioral genetics)의 방식입니다.
* 크리스타키스의 홈페이지에서 논문 다운로드 가능. 다 예측 가능하듯이, 이것도 쌍둥이 연구로 유전성을 평가한 것입니다. 전형적인 행동 유전학(behavioral genetics)의 방식입니다.
사회적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거기에 투자하는 사회적 행동이 유전적 특색이 대단히 강하다는 것을 보여 줍니다. 漁夫 생각에는 '사회적 관계에 대한 투자'도 모두 '행동 전략'으로(즉 '성격'으로) 볼 수 있는 만큼, 특정 전략을 선호하는 성향이 유전된다는 것은 전혀 놀랍지 않습니다. 어떤 생물에게든지 시간은 대부분 유한하다고 볼 수 있으며, 동물의 경우 특정 개체가 어떤 목적으로 시간을 쓴다는 것은 다른 목적에 쓸 시간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하지요. 아시다시피 '시간 배당'은 곧 '자원 배당'이고, 전략으로 간주해 무방합니다.
사람들의 성격은 참 가지가지며, 사람들이 서로를 대할 때 가능한 '전략'이 대단히 여럿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잘 보여 줍니다(그리고 제인 구덜 등에 의하면 '성격'은 침팬지에서도 마찬가지로 잘 관찰할 수 있습니다)[1]. 이 중 절반 정도는 부모가 [유전적으로] 결정하고, 나머지 부분에 영향을 주는 것이 무엇이냐가 큰 논란거리였는데 이 점은 ...... (씨익)
漁夫
[1] 가장 단순한 '매-비둘기'의 전략 대조는 제 ESS 포스팅을 보시길. 사람 성격의 다양함을 볼 때 얼마나 손익 계산이 복잡하겠습니까.
덧글
부모의 행동이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건 심정적으론 납득하긴 어렵습니다만 이성적으론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프린터 잉크가 없기 때문에 이틀 뒤에나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일단 그 전에 리플을 달고자 했습니다! orz
부모의 양육이 아이들에게 영향이 있다는 것은 사실 그리 오랜 기간 동안 '상식'이 아니었댑니다. ^^;;
지금 바로 인쇄하지 마셔요. 완성판 나온 다음에 인쇄하셔도 늦지 않습니다.
그리고 주디스는 부모의 영향력을 '전혀' 인정하지 않는건가요? 학대나 절대적 빈곤을 제외하면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