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입] 다비드 오이스트라흐 - EMI 녹음 전집- ![]() 여러 아티스트 (Various Artists) 작곡, 오이스트라흐 (David Oistra/EMI Classics |
* 다비드 오이스트라흐; EMI 녹음 전집
* 연주
- 다비드 오이스트라흐(David Oistrakh; vn), 여러 연주자
* 녹음 ; 1953년~1972년 11월 25일
* 원녹음 ; EMI
* 음반 번호 ; EMI 2 14712 2(17 CDs)

우선 협주곡부터 보면, 베토벤은 2개가 들어가 있습니다. 하나는 물론 유명한 클뤼탕스 협연의 스테레오 녹음으로 베토벤, 브루흐; 바이올린 협주곡 - 오이스트라흐(EMI)에서 얘기했습니다. 모노랄 녹음은 식스텐 에를링(Sixten Ehrling) 지휘 스톡홀름 축제 오케스트라와 협연했으며, 이 때 시벨리우스의 협주곡도 같이 녹음했습니다. 33CX 1194. 시벨리우스 협주곡은 이것보다는 뒤의 두 개의 스테레오 녹음을 - 미국 Columbia와 Melodiya - 더 추천하고 싶군요(부분적으로는 음질 때문에).





브람스 녹음으로는 뒤에 미국의 EMI 자회사 Capitol 주선으로 조지 셀과 1969년 클리블랜드에서 협연한 것이 있는데, 클렘페러 협연과 비교해서 전체적으로는 어느 것을 골라도 큰 차이는 없을 정도로 좋은 음반이긴 하죠. 이 때 로스트로포비치와 같이 녹음한 2중 협주곡은 그야말로 거의 완벽한 수준입니다. EMI ASD 2525(협주곡), ASD 2626(2중 협주곡)으로 낱장 발매. 아래 보이는 자켓은 두 장을 합쳐 낸 2장 box.
아래의 브람스 2곡 녹음은 오이스트라흐의 미국 여행 때 EMI의 미국 지사가 된 Capitol에서 주선했습니다. 셀은 EMI의 녹음을 상당히 좋아했다고 하는데, 개인적으로는 미국 Columbia의 소리가 당시 Capitol 녹음보다 더 클리블랜드 오케스트라의 투명한 음향을 더 잘 전해 준다고 생각합니다.














아람이 아니라 카렌 하차투리안의 소나타도 있습니다. 그리 전위적이지 않고 들을 만 하네요.
아래는 프랑크와 시마노프스키의 소나타. 33CX 1201로 피아노는 역시 얌폴스키. 1954년 6월 연주 여행 중 스톡홀름에서 녹음했습니다. 프랑크는 리히테르와 한 60세 기념 실황 녹음을 냈으며 그 편이 더 유명합니다. (image; courtesy by A. Takahashi)




漁夫
덧글
요즘 이것 저것 하도 질러대서 아직도 저 박스를 지르지 못했네요.
그러고보니 저 할아버지 협주곡은 수도 없이 들었는데 소나타나 소품 계열은 확실히 흔치 않군요...전부 갖고 싶지만 특히 소품집이 제일 듣고 싶네요ㅠㅠ
좀 저렴한 것도 구하시려면 구할 수 있습니다.
얼마전에 차이코프스키 바협 35번으로 오이스트라흐와 하이페츠를 처음 접했습니다.
개인적으로 "20세기 최고의 바이올린 연주자"라는 하이페츠 보다 오이스트라흐가 더 가슴에 와닿더군요(나중에는 또 모르겠지만..하하)
하이페츠는 카리스마가 상당한데, 너무 날카롭다고 해야 할까요? 같은 곡인데도 오이스트라흐 버전이 더 따듯하게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하이페츠 전집(sony)과 고민하다가 결국 본문의 오이스트라흐 전집(EMI)으로 얼마전에 구입했네요. 매우 좋습니다 ㅋㅋ
p.s CD 립핑뜨면서 아마존에서 검색하여 곡별로 앨범사진을 넣어 놨는데, 이번 전집에는 EMI뿐만 아니라 Testament 버전도
몇개 포함돼 있는듯 합니다. 서로 관계가 있는 레이블인지 아니면 제가 잘못 찾은건지 ㅜ_ㅜ;
Testament는 원래 EMI의 라이선스 발매 업자로 출발했습니다. EMI international 발매로는 수 만 장 팔려야 수익이 나는 old recoring item이 아닌데, Testament처럼 중소기업은 손익분기점이 낮기 때문에 EMI가 녹음을 골라서 라이선스를 준 겁니다. 여기서 출발하여 Decca하고 Philips(지금은 한 회사지만), Sony 등의 라이선스도 맡기도 하고, 지금처럼 box로 나오는 경우가 많은 시기는 major 회사의 라이선스보다는 주로 안 알려진 방송 녹음들을 발굴해 발매하더군요. Tahra가 문을 닫은 지금은 이 분야 two top 중 하납니다(다른 하나는 당연히 저작권 끝난 것을 재발매하는 Nax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