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 길에 우연이 옆에서 본 간판이 "아름다운 나라". 헤어샵 광고였죠.
漁夫는 원래 성격이 삐딱한지라 이런 일화가 떠오르더군요.

그래서 어떻게 되었을 것 같으신가요? ^^;;

漁夫
ps. 결론; 이런 쓸데없는 짓은 되도록 하지 맙시다.
漁夫는 원래 성격이 삐딱한지라 이런 일화가 떠오르더군요.
다윈은 여자들이 아름답기로 유명한 서아프리카의 졸로프 족에 대하여 묘사했는데, 그 종족은 의도적으로 못생긴 여자들을 노예로 팔아넘겼다.
[ from 붉은 여왕(The Red Queen) by Matt Ridley, p.464~65 ]
[ from 붉은 여왕(The Red Queen) by Matt Ridley, p.464~65 ]
..................

그래서 어떻게 되었을 것 같으신가요? ^^;;
그러한 나치 식의 우생학은 실제로 종족 내에서 아름다움의 정도를 향상시켰으나, 남자들의 아름다움에 대한 주관적 기준 역시 빠른 속도로 올라갔다. 아름다움이란 전적으로 주관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졸로프 족은 영원한 실망에서 헤어나오지 못할 수밖에 없다.
[ ibid. same page ]
[ ibid. same page ]

권장 사항;
당신이 지쳐 쓰러지기 전에 붉은 여왕의 쳇바퀴에서 내려오는 편이 낫겠다.(ibid.)
당신이 지쳐 쓰러지기 전에 붉은 여왕의 쳇바퀴에서 내려오는 편이 낫겠다.(ibid.)
漁夫
ps. 결론; 이런 쓸데없는 짓은 되도록 하지 맙시다.
덧글
....brave new world라는 뻘댓글을 잠시 달고 싶어졌습니다;
거꾸로 효율은 감퇴(월화수목금금금에다가 야근을 마구했더니 실수가 증가하고 질병이나 순직률이 증가해서 효율이 더떨어지는.....)하고
실적은 오르는데 그 오른실적의 상당수가 사기처서 오르는(예: 1시간일하고 고객에게 2시간청구한다던지 업무할때 무궁화호타고 이동하고서 KTX타고 이동했다고 한다던지 알바생(실제시급 4000)이 작성한 문서를 전문 관리직분(실제시급 100000)이 직접 작성했다고 하기)상황이 발생하고 있다고하는....
저 source가 의심스럽다고 해도, 저는 충분히 개연성 있는 얘기라고 봅니다. 그건 나중에 다른 책의 결과를 인용하여 포스팅하도록 하죠.
실제적으로, 비의도적 실험에서 인간의 mating에서 '외모'가 절대적인가 상대적인가 하는 의문을 조사한 연구가 있습니다. 바로 다음 포스팅에서 올려 놓겠습니다. 이건 공수표 아녀요 -.-
아무래도 이거 나치식이든 졸로프식이든 우생학 적용의 성공사례로 보입니다. -_-;
사실 특정 기준을 맞춰 놓고 그 기준에 따라 '엄격하게 선택'을 하면 그 기준에 맞춰 향상이 될 수 있습니다. 단 그 기준이 유전에 기초를 두어야 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