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LP에 대해 얘기하면서 몇 번 RIAA 특성 curve 얘기를 했을 것입니다. 이것은 비닐 레코드를 만들고 재생할 때의 규약입니다. LP 광이라면 어느 정도 다 아시겠지만, 처음 시작하실 분께 참고가 될 목적으로 여기 정리합니다.
RIAA의 의미를 정확히 설명하기 위해, 다 아시는 LP 제작 공정을 소개하죠. (약간 부정확할 수도 있으나 개요는 정확)
1. 녹음 ; 보통 high speed reel tape 사용. 스테레오 시대에는 channel이 여럿임.
2. master tape 제작
3. cutting/press 과정
RIAA는 LP 레코드를 가정에서 재생할 때 가장 잡음과 왜곡이 적은 소리를 얻기 위해 미국에서 먼저 채택한 규약입니다. Turntable을 사용할 때, 가장 실제적인 문제는 고음부의 tick(날카롭게 톡톡 튀는 소리)이죠. RIAA가 사용한 방식은
1. Stamper를 만들 때 미리 고음을 강조하고 저음 쪽을 줄여 놓는다.
즉, LP를 제작하면서 미리 '고음 강조/저음 줄임'을 해 놓고, 재생할 때 발생하기 쉬운 tick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재생할 때 그 쪽의 비율을 줄이는 방식입니다. Master tape 또는 stamper를 만들 때는 잡음이 안 들어가니까 고역/저역을 조정해도 상관없죠.
1. 미국 ; RIAA가 미국 기준이기 때문에 미국 회사들이 당연히 더 빨리 채택했죠.
2. 유럽 회사들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1960년대 중반까지는 모든 LP의 제작이 RIAA 기준으로 바뀌었다고 보면 된댑니다.
그러면, non-RIAA LP를 요즘 카트리지로 재생하면 어떻게 될까요? 보시는 분들께서 한 번 생각해 보시압... ^.^
[ More informations ]
漁夫
RIAA의 의미를 정확히 설명하기 위해, 다 아시는 LP 제작 공정을 소개하죠. (약간 부정확할 수도 있으나 개요는 정확)
1. 녹음 ; 보통 high speed reel tape 사용. 스테레오 시대에는 channel이 여럿임.
* RCA의 유명한 'living stereo' 녹음 때는 Left, Center, Right 3채널 방식을 사용.
* 당연히 더 많은 채널 숫자를 쓴 경우도 있음. 특히 오페라나 오케스트라 녹음에서.
2. master tape 제작
* multi-channel을 스테레오(2 채널) 또는 모노용(1 채널)으로 줄임
* 위의 과정이 바로 mixing임. 녹음 각 채널 사이의 비율을 결정하므로, mixing을 다시 하면
전체적인 음향이 바뀔 수 있음
전체적인 음향이 바뀔 수 있음
* master tape ; mixing을 마친 tape로, 이것을 기반으로 LP의 '틀'인 stamper를 제작
3. cutting/press 과정
* stamper 만들기 ; LP의 소릿골을 찍어내려면 금속으로 '틀'을 만들어야죠.
- 이 과정에서는 'Cutting machine'을 사용합니다.
- LP의 '반대 모양'으로 새겨진 금속판이 metal stamper입니다.
* pressing
- 문자 그대로, metal stamper 2장(앞뒤면이니까요) 사이에 녹은 vinyl 덩어리를 넣어 호떡
누르듯이 '찍는' 과정입니다.
누르듯이 '찍는' 과정입니다.
- vinyl은 PVC(polyvinyl chloride, 염화비닐)을 사용합니다. 다 아는 말이지만 초창기에 나온
LP들이 근래 나온 것보다 무겁죠. 비용 절감을 위해 후에 125g으로 표준화됐습니다.
LP들이 근래 나온 것보다 무겁죠. 비용 절감을 위해 후에 125g으로 표준화됐습니다.
- vinyl 양이 무거우면 안정적이고 외부 진동에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최근에 160g이나
180g으로 특별히 만든 놈들이 꽤 보입니다. 탄탄하고 좋긴 한데 가격은 보통 3~4만원 이상
.... -.-
180g으로 특별히 만든 놈들이 꽤 보입니다. 탄탄하고 좋긴 한데 가격은 보통 3~4만원 이상
.... -.-
- 단순히 양 뿐 아니라 첨가제의 종류와 그 양을 얼마나 넣는가도 기술입니다. 가장 흔한 예로,
성음 LP는 불에 비쳐 봤을 때 뒤가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만 지구레코드 LP는 반투명함을 알
수 있습니다.
성음 LP는 불에 비쳐 봤을 때 뒤가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만 지구레코드 LP는 반투명함을 알
수 있습니다.
- metal stamper 1매로 레코드를 몇 장 찍어내는가도 중요합니다. 당연히, 많이 찍어내면
stamper가 마모되기 때문입니다. 외국에서는 보통 1000장 이하(소위 Audiophile 급들은
대개 600장 이하), 우리 나라에서는 보통 3000~5000장이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작은 수만
찍은 'demonstration disk'가 인기가 있는 이유가 이 때문이죠.
stamper가 마모되기 때문입니다. 외국에서는 보통 1000장 이하(소위 Audiophile 급들은
대개 600장 이하), 우리 나라에서는 보통 3000~5000장이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작은 수만
찍은 'demonstration disk'가 인기가 있는 이유가 이 때문이죠.
RIAA는 LP 레코드를 가정에서 재생할 때 가장 잡음과 왜곡이 적은 소리를 얻기 위해 미국에서 먼저 채택한 규약입니다. Turntable을 사용할 때, 가장 실제적인 문제는 고음부의 tick(날카롭게 톡톡 튀는 소리)이죠. RIAA가 사용한 방식은
1. Stamper를 만들 때 미리 고음을 강조하고 저음 쪽을 줄여 놓는다.
2. Cartridge로 LP를 재생할 때 그만큼 고음을 줄이고 저음 쪽을 키워 증폭한다.
즉, LP를 제작하면서 미리 '고음 강조/저음 줄임'을 해 놓고, 재생할 때 발생하기 쉬운 tick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재생할 때 그 쪽의 비율을 줄이는 방식입니다. Master tape 또는 stamper를 만들 때는 잡음이 안 들어가니까 고역/저역을 조정해도 상관없죠.
이렇게 하면 다른 이익도 있습니다. 저음에서는 groove가 좌우 폭이 크게 흔들리게 되는데, 이 때 바늘에는 상당히 힘이 많이 걸립니다. 저음을 줄여 놓으면 바늘에 걸리는 힘도 줄어들며, 레코드 표면의 면적도 덜 차지하기 때문에 수록 시간도 늘릴 수 있습니다.
지금 LP를 구입하는 사람들에게 실제적인 문제는 구입한 LP가 RIAA나 non-RIAA냐입니다. 현대의 cartridge와 바늘은 모두 stereo, RIAA로 맞춰져 있기 때문입니다. 간단한 기준은 없습니다만, 제가 아는 대로 적어 보면;
지금 LP를 구입하는 사람들에게 실제적인 문제는 구입한 LP가 RIAA나 non-RIAA냐입니다. 현대의 cartridge와 바늘은 모두 stereo, RIAA로 맞춰져 있기 때문입니다. 간단한 기준은 없습니다만, 제가 아는 대로 적어 보면;
1. 미국 ; RIAA가 미국 기준이기 때문에 미국 회사들이 당연히 더 빨리 채택했죠.
* RCA Victor New Orthophonic curve가 RIAA가 되었기 때문에, RCA LP는 시점이 이
르더라도 사실상 RIAA로 볼 수 있습니다.
* Capitol이나 Westminster는 RIAA를 채택한 초기 LP에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르더라도 사실상 RIAA로 볼 수 있습니다.
* Capitol이나 Westminster는 RIAA를 채택한 초기 LP에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 특히 Westminster 중 일부는 non-RIAA 시대에 'AES' 'NAB' 식으로 표시한 경우가 많
습니다.
습니다.
* 모노랄 시대 후기인 1955년 경부터는 사실상 모두 RIAA라고 보셔도 될 듯.
2. 유럽 회사들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 영국 ; Decca의 경우 'ffrr(full frequency range recording)'을 사용했죠. 후기 London 레이블의
스테레오 발매에는 RIAA 표시가 있는데, London label이 미국 판매용이었음을 감안한다면 당
연. 단, Decca 스테레오 음반은 언제 바꾸었는지 정확히 모름. EMI도 마찬가지.
스테레오 발매에는 RIAA 표시가 있는데, London label이 미국 판매용이었음을 감안한다면 당
연. 단, Decca 스테레오 음반은 언제 바꾸었는지 정확히 모름. EMI도 마찬가지.
* 프랑스 회사 ; 'Gravure Universal'이 RIAA입니다.
* 독일이나 기타 ; 정보 없음. 저도 궁금하네요.
보통 1960년대 중반까지는 모든 LP의 제작이 RIAA 기준으로 바뀌었다고 보면 된댑니다.
그러면, non-RIAA LP를 요즘 카트리지로 재생하면 어떻게 될까요? 보시는 분들께서 한 번 생각해 보시압... ^.^
[ More informations ]
RIAA ; Record Industry of American Association. http://en.wikipedia.org/wiki/RIAA
RIAA curve
漁夫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