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7/03 22:59

RCA ; LP 족보(1) 고전음악-LP

 < 2015. 12. 26 최종 수정 >  

  오디오파일(Audiophile)로 꼽히는 레이블 중 Decca와 EMI는 영국 레이블이지만, 나머지 둘은 미국 레이블입니다.  그 중 존 파이퍼(John Pfeiffer)와 리처드 모어(Richard Mohr) 등이 주로 녹음을 맡은 RCA의 'Living stereo'는 실제 소리에 매우 가까운 훌륭한 음질로 정평이 있습니다.  LP 수집가들에게 반가운 일이라면, RCA의 초기 시리즈는 Decca나 EMI의 초기 발매들보다 일반적으로 약간 가격이 낮은 편이라는.  ^^
  모노랄 시대에는 LM 시리얼이 있습니다. 이 시기의 모든 레이블이 그렇듯이, 스테레오 시대에 스테레오 녹음들을 염가 모노랄로 발매한 것도 LM 시리즈에 끼어 있습니다.
  ◀ 'maroon & gold letter'

 
◀ 'maroon & silver letter(UM3)'

  이 둘 중 어느 편이 더 먼저 나왔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위의 gold letter 편이 좀 먼저 같습니다.
 
  LM 시리즈부터 후기 시리즈까지 가장 친숙한 레이블은 아무래도 'Shaded dog(SD)'입니다. 유명한 멍멍이 니퍼(Nipper)의 뒷쪽에 그림자가 있기 때문에 붙은 이름입니다. LM 시대의 SD 레이블은 기본 도안이 밑의 스테레오 시대 레이블과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 LM 시리즈, SD, plum (UP1)

  모노랄 당시(1956년까지)는 RCA가 HMV(EMI의 한 섹션)와 제휴 관계였기 때문에, 여기의 녹음을 라이선스한 것들은 시리얼이 보통 LHMV~ 이고, 가끔 LCT ~도 있습니다(후자는 78회전 복각이라 보면 됩니다). 이 두 레이블은 또 모양이 다릅니다. 보통 이 두 넘은 프레싱 순서를 구분 안 하더군요.
 
  이 LHMV 레이블은 여러 모로 EMI의 'ER1'과 비슷합니다. 제 족보의
EMI ; LP 족보 - Columbia 레이블을 참고해 보시길.   
 
  스테레오 초반 시대는 RCA의 프레싱과 품질이 전세계를 휩쓸던 때죠. 이 때 스테레오 레코드를 메이저 레코드사 중 가장 빨리, 타이틀 수에서도 대량으로 내놓은 곳이 RCA였습니다. LP의 발매에서 떨어져 미국 Columbia에게 물을 먹었습니다만, 이 때는 완전히 복수했다고 할 만 합니다.
 
  그 이름도 찬란한 SD 1st label은 이제 등장합니다. ^^ 시리얼은 LSC.
▼ Shaded Dog 1st, UR1 'Small living stereo logo & grooved'
  
   
▼ Shaded Dog 2nd, UR2 'Large living stereo logo & grooved'
 
  위 둘을 보시면, 레이블 아래 쪽에 있는 'LIVING STEREO' 문구 크기는 같으나 그 아래에 'Trade marks ~' 부분이 하나는 'TMK'고 다른 하나는 'Trade marks~' 입니다.  TMK로 표기한 아래 레이블이 더 나중 것입니다.  
 
  잘 보시면, 멍멍이 밑의 "STEREO-ORTHOPHONIC' HIGH-FIDELITY란 글귀가 없어졌습니다.  이것이 UR2의 마지막.  다음에는 UR3으로 바뀝니다.
 
▼ Shaded Dog 3rd, UR3 'stereo logo & grooved'
  위에 보듯이, UR3은 'LIVING STEREO'가 'STEREO'로 줄어들었습니다.  
  다음부터는 'Dynagroove'란 문구가 등장합니다.
 
▼ Shaded Dog 4th, UR4 'living stereo/Dynagroove logo & grooved'
 

▼ Shaded Dog 5th, UR5 'stereo/Dynagroove logo & grooved'
  
  차이는 간단합니다. 6시 방향 스테레오 로고 보시면 되니까... 3판 이후는 멍멍이 밑에 있던 "STEREO-ORTHOPHONIC" HIGH FIDELITY란 글씨가 사라졌고, 4판은 잘 보이진 않지만 living stereo 표시가 다시 등장하고 가운데 크게 'DYNAGROOVE'라고 표시되었습니다. 5판은 living stereo가 stereo로 바뀌었을 뿐입니다. 제 얼마 안 되는 경험상, 이 중에는 2판(large living stereo)이 가장 자주 보입니다. 2판과 거의 같고 레이블 아래쪽의 글씨가 다른 'UE'라 불리는 레이블도 있는 모양인데, 이건 제가 아직 분별하지 못합니다. -.-
 
  이 시대의 또 다른 시리즈는 'Soria edition'입니다.  어느 LP 애호가의 말씀은 "Soria는 당시 스위스의 출판사로, 양질의 칼라 출판 기술이 세계 최고 수준이었다. RCA에서 여기에 특별히 위촉하여 호화판 음반을 만들었다" 저도 이 시리즈를 하나 갖고 있는데, 이 정도 되면 정말 LP가 좋다는 말이 저절로 나옵니다. CD full price가 절대로 안 부럽네요.
 
  이 LP는 두 장짜리지만, 한 장이건 몇 장이건 두꺼운 박스에 넣어 놓았습니다. 이 껍질의 그림은 질 좋고 두꺼운 종이에 인쇄해서 붙여 놓았습니다. 그리고 거의 작은 책 두께인 해설지에도 이런 그림이 들어가 있습니다. LDS, LSS(스테레오)와 LD(모노랄) 등의 시리얼이 있습니다. 이 Soria 시리즈의 레이블은 SD를 그대로 쓰기도 하고, 멍멍이가 없는 다음과 같은 레이블도 보입니다.

 

 이 이후는 'White dog(WD)'로 넘어가는데, 계속 쓰려니 피곤해서 다음으로...

 漁夫

  ps. 어느 프로 분께서 알려 주신 RCA label 해독법입니다.

 RCA living stereo
LSC 1800~2650의 초반; Shaded Dog (세부 변화까지는 漁夫도 아직 모릅니다)
LSC 2651~3000의 초반; White Dog
LDS Solia Series (1962~'68 Year)

ex) K2 RY 3608 1S
K; Recoring Date
2; Original Source Company Code
R; Genre
Y; Stereo (P; Mono)
3608; Master Tape Control Number For Engineer
1S; 1(First) / S(Stamper)

*Recording Date Code; E(1954), F(1955), G(1956), H(1957), J(1958), K(1959), L(1960), M(1961), N(1962),P(1963), R(1964), S(1965), T(1966), U(1967), W(1968), X(1969)





Commented by chunbach at 2005/08/16 23:08
Label 족보 잘 봤습니다.^^
아시다시피, 저도 LP 파는 곳에 있지만, 어릴 적엔 (예전엔) 이런 구분 법을 판장사들이 잘 가르쳐 주질 않았죠. 심지어 단골이나, 직원한테도... 저 역시, 오래전 부터 주변의 쟁쟁한 선배들도 있었지만 좀 묻기가 그렇더군요. 그래서 저도 이래저래 자료 수집을 어렵게 했었죠.
항상 문제는 이 사람 얘기랑 저 사람 얘기가 다르다는 점이었죠. 이런 저런 자료 수집 중 알게된 중요한 사실은 한 일본인이 당시 모노/스테레오 초반 제작 당시의 엔지니어들을 만났던 얘긴데... 미국 콜롬비아 같은 회사 처럼, 음반 제작의 원칙이 갈 수록 본사 재고량에 기인했다는 분명치않은 기록들과, 여타 많은 회사들이 당시 자료를 상당수 잃어버렸다는 점입니다.

잘 알려진 영국, 프랑스, 독일 등에서 나오는 프라이스 가이드북이나, 레코드 카탈로그는 현지 딜러들에 의해서 검증없이 만들어졌다는 점이죠. 물론 데카같은 경우는 비교적 정확하지만요.

아무튼, 우리에게 잘 알려진 tloen님처럼 컬렉터 입장에선 상당히 신경쓰이는 문제입니다. 그러나 레코드 구매에 있어 필요이상의 정보는 좀 무의미하다는 생각을 할 수 밖에 없는 게 가격엔 그렇게 큰 차이가 없든지, 무시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죠. 물론 기본적인 Label 감식은 필수죠!

아시겠지만, 여기 오시는 분들을 위해(ㅎㅎ 사실 이런거 몰라도 사는데 지장없습니다만^^)RCA Living Stereo 의 각인 시리얼 해석은 다음
과 같습니다.

-RCA
LSC 1800~2650 Shaded Dog
LSC 2651~3000 White Dog
LDS Solia Series (1962~'68 Year)

ex) K2 RY 3608 1S
K; Recoring Date
2; Original Source Company Code
R; Genre
Y; Stereo (P; Mono)
3608; Master Tape Control Number For Engineer
1S; 1(First) / S(Stamper)

*Recording Date Code; E(1954), F(1955), G(1956), H(1957), J(1958), K(1959), L(1960), M(1961), N(1962),P(1963), R(1964), S(1965), T(1966), U(1967), W(1968), X(1969)

블로긴은 매일 보지만, 가끔 오는 엠파스 어부님홈이라 제 Mac에서 잘 포스팅 될지 궁금하군요.
그럼, 제 블로그도 놀러오세요~^^
Commented by 어부 at 2005/08/17 12:05
ㅇㅊㅅ님 블로그 '불 나면' '불 끄러' 들어가 본답니다. ^^
코드 해독법 감사드립니다. LP King인가에서 Audiophile 시리얼과 음반 catalog를 복사해서 팔던데, 본 적은 있습니다만 복사본이라 사기는 좀 그렇네요. 이것도 딜러들이 만들어 놓은 책이었죠. RCA LSC 번호와 초반 멍멍이는 미처 모르고 있었습니다. 제가 쉽게 볼 수 있던 인터넷 자료에 없어서.... (적극적으로 인터넷 찾는 사람이 아니다 보니까요. %.%)
제 경험으로도 상인들이 적극적으로 안 가르쳐 주는 것 같습니다. 청기와 장수랄까...
Commented by 어부 at 2005/08/17 12:08
잘 아시다시피 그래도 메이저 레이블들은 사람들이 많이 찾아서 족보가 인터넷 상에서도 대략 정리되어 있습니다만, 프랑스나 동구권 레이블은 정리가 도대체 명쾌하지 않습니다. 외국 사람 중에 레이블 정리하여 책으로 낸 경우도 있습니다만 그런 비싼 책 사 가면서까지 투자하고 싶진 않아서요. ^.^ (이 편이 직업이시면 제가 쓴 정도는 당연히 기본이셨을 텐데, 쑥스럽습니다.)
Commented by chunbach at 2005/08/16 23:14
역시 제 Mac의 Safari 브라우져에선 엠파스블로그가 좀 문제네요. 포스팅이 잘 보이질 않네요^^;;;
Commented by 어부 at 2005/08/17 12:09
리플은 잘 보입니다.

핑백

덧글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내부 포스팅 검색(by Google)

Loading

이 이글루를 링크한 사람 (화이트)

831

통계 위젯 (화이트)

2334
116
1319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