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ckback; 남자와 여자
여러 번 얘기한 테마지만, 아직도 건수는 많습니다. ^^
인간의 (명목상) 일부일처제가 어떤 이유에서 발달했는가는 이미 밑에서 적었습니다. 그래도, 인간의 성 행동에 대해 몇 가지 더 해명해야 될 점이 남아 있습니다.
1. 인간은 임신 가능한 기간에만 관계를 갖는 대다수 동물과 다르다. 대부분의 성행
위는 임신 가능 여부와는 상관이 없다. 이 점에서 인간은 '즐거움으로' 성행위를
대하는데, 성행위를 본래 목적으로만 사용하는 대다수 동물들에게 인간의 방식은
대단히 이상할 것이다. 왜 성행위의 주된 목적이 즐거움으로 바뀌었을까?
2. 인간 여성은 자신도 언제 임신 가능한지 정확히 모른다. 사실 앞 주제와 관련된
사항인데, 이런 경우 '본래 목적'을 달성하려면 횟수를 늘릴 수밖에 없다. (20대
젊은 '쌩쌩한' 부부가 평균적으로 한 주일에 5회 이상 시도한다고 하는데, 이래
도 평균 임신 확률은 1/4 정도에 불과합니다. 에너지 낭비 아닌가요?) 이 사실
도 인간의 성관계 목적이 '번식'보다는 '즐거움'으로 옮겨갔음을 입증한다.
이 '배란의 은폐' 현상은 왜 나타났고, 왜 현재까지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가?
(대다수의 동물 암컷들은 배란 시기를 - 즉 임신 가능 시기를 선전합니다. 인간
의 가장 가까운 친척인 침팬지도 무리 내의 모든 수컷들에게 광고를 합니다 ^^)
3. 인간 여성에게는 '폐경'이란 현상이 있는데, 왜 충분히 더 살아서 아이를 낳을 수
있을 때 생식 능력이 없어져 버릴까? 반면 남자들에게는 왜 이 현상이 없을까?
이 질문은 사실 인간에 대해 너무 기본적인 얘기여서 보통 사람들이라면 당연하다고 볼 사안입니다만, 동물 세계에서 보면 '인간은 참으로 이상한 종이야'라 말할 것들입니다. 이 분야에서 가장 기본적인 책이라면 아무래도 Jared Diamond의 'Why sex is fun'일 것입니다. 3번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많은 모양인데, Why sex is fun 말고 다른 참고 도서도 언급하겠습니다.
시간 될 때마다 하나씩 각개 격파하도록 하죠.
漁夫
여러 번 얘기한 테마지만, 아직도 건수는 많습니다. ^^
인간의 (명목상) 일부일처제가 어떤 이유에서 발달했는가는 이미 밑에서 적었습니다. 그래도, 인간의 성 행동에 대해 몇 가지 더 해명해야 될 점이 남아 있습니다.
1. 인간은 임신 가능한 기간에만 관계를 갖는 대다수 동물과 다르다. 대부분의 성행
위는 임신 가능 여부와는 상관이 없다. 이 점에서 인간은 '즐거움으로' 성행위를
대하는데, 성행위를 본래 목적으로만 사용하는 대다수 동물들에게 인간의 방식은
대단히 이상할 것이다. 왜 성행위의 주된 목적이 즐거움으로 바뀌었을까?
2. 인간 여성은 자신도 언제 임신 가능한지 정확히 모른다. 사실 앞 주제와 관련된
사항인데, 이런 경우 '본래 목적'을 달성하려면 횟수를 늘릴 수밖에 없다. (20대
젊은 '쌩쌩한' 부부가 평균적으로 한 주일에 5회 이상 시도한다고 하는데, 이래
도 평균 임신 확률은 1/4 정도에 불과합니다. 에너지 낭비 아닌가요?) 이 사실
도 인간의 성관계 목적이 '번식'보다는 '즐거움'으로 옮겨갔음을 입증한다.
이 '배란의 은폐' 현상은 왜 나타났고, 왜 현재까지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가?
(대다수의 동물 암컷들은 배란 시기를 - 즉 임신 가능 시기를 선전합니다. 인간
의 가장 가까운 친척인 침팬지도 무리 내의 모든 수컷들에게 광고를 합니다 ^^)
3. 인간 여성에게는 '폐경'이란 현상이 있는데, 왜 충분히 더 살아서 아이를 낳을 수
있을 때 생식 능력이 없어져 버릴까? 반면 남자들에게는 왜 이 현상이 없을까?
이 질문은 사실 인간에 대해 너무 기본적인 얘기여서 보통 사람들이라면 당연하다고 볼 사안입니다만, 동물 세계에서 보면 '인간은 참으로 이상한 종이야'라 말할 것들입니다. 이 분야에서 가장 기본적인 책이라면 아무래도 Jared Diamond의 'Why sex is fun'일 것입니다. 3번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많은 모양인데, Why sex is fun 말고 다른 참고 도서도 언급하겠습니다.
시간 될 때마다 하나씩 각개 격파하도록 하죠.
漁夫
덧글
근데 지금은 아무래도 Matt Ridley의 'Red Queen'이 우선이라.